조사연구 활동
사회민속-고건축 조사
사회민속조사 분야
구분 | 세부내용 |
---|---|
문화자원 조사 | |
마을지 작성 | 개발에 의해 사라지는 마을 또는 보존가치가 있는 마을에 대해 현장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책(보고서) 또는 다양한 매체(영상, 홈페이지, 사진 등)을 통해 기록 및 보존하는 작업 |
고건축 조사 | 한국건축역사의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건축의 미래를 연구하며, 고건축과 근대건축물에 대한 기록·보전, 매장유산 수리 복원 등 건축물 조사가 주된 분야임 |
디지털향토문화대전 | 한국학중앙연구원과 함께 전국의 향토문화자료를 발굴, 이를 디지털화하여 디지털 지역문화대전을 구축하는 작업 |
고건축 조사 절차
주요 연구실적
2010년 |
영천의 전통건축물 조사 봉화의 전통건축물 조사 |
---|---|
2011년~2012년 | 도청이전부지 내 기록화 보고서 - 갈전리 우헌고택 |
매장유산 현상변경 기준안 마련
매장유산 현상변경이란 사업시행자가 매장유산 원래의 모양이나 현재의 상태를 바꾸는 행위. 그리고 매장유산를 둘러싸고 있는 주변 환경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행위를 말한다. 이러한 매장유산 현상변경에 대하여 기준안을 마련하여 매장유산을 보호하고 있다.
주요 연구실적
2009년~2010년 | 영양군 지정 매장유산 주변 현상변경 기준(안) 마련 연구용역 - 두물마을, 주실마을 |
---|---|
2010년 | 영양군 지정 매장유산 주변 현상변경 기준(안) 마련 연구용역 - 영양 취수담 |
2012년 | 영양군 도지정 매장유산 주변 현상변경 기준(안) 마련 연구용역 - 영양 장열공사당 |
매장유산 정비 분야
구분 | 세부내용 |
---|---|
매장유산 정비복원 | 지역에 소재하는 매장유산을 체계적이며 지속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실효성 있는 정비복원을 수립하고 이를 역사·문화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활용계획을 수립하는 작업 |
매장유산 상시 관리 및 수리보수 | 지역의 지정·비지정 매장유산에 대한 지속적 모니터링을 통하여 매장유산 상시 관리 업무를 수행하고 이를 수리보수하는 작업 |
매장유산 관련 서적 발간 | 매장유산 관련 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서적으로 발간하는 작업 |
매장유산정비복원
매장유산정비복원이란
문화유적 및 지정매장유산의 보존과 활용을 위해 기초연구, 학술조사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정비방안과 활용계획을 수립한다. 이를 바탕으로 한 지역의 문화관광자원 및 역사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기 위한 기본계획 수립을 말한다.
주요 연구실적
2005년 | 고속도로 제1호선 경산휴게소 신상리고분 복원 학술용역 |
---|---|
2006년 | 왜관2산단 진입도로(1단계) 매장유산 이전 복원 용역 |
2007년 | 예천원산성 복원을 위한 정밀지표조사 |
2010년 | 포항 흥곡리 고분군 정밀지표조사 및 공원화 방안 |
2011년 | 격암 남사고 전시관 야외패널 제작 |
2012년 | 칠곡 관호토성 학술조사(정밀지표조사 및 기본계획수립) 용역 |
매장유산 관련 서적 발간
매장유산 관련 서적 발간
경상북도 소재 주요 매장유산에 대해 학술조사를 실시하여 관련 자료를 수집, 정리하고 이를 서적으로 발간하는 작업이다.
이 자료들은 향후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문화유산 정보화 작업의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주요 연구실적
2006년 | 일반동산매장유산 다량 소장처 실태조사 - 청도군 |
---|---|
2010~2011년 | 청도의 금석문 자료집 발간 용역 |
2011년 | 청도의 고건축물 발간 용역 |
주요 연구실적
2006~2007년 | 디지털울릉문화대전 기초조사연구사업 |
---|---|
2008년 | 디지털울진문화대전 데이터집필사업, 멀티미디어제작사업 |
2008~2009년 | 디지털칠곡문화대전 데이터집필사업, 멀티미디어제작사업 |
2009년 | 디지털고령문화대전 멀티미디어제작사업 |
2011~2012년 | 디지털의성문화대전 멀티미디어제작사업 |
2011~2013년 | 디지털청도문화대전 기초조사연구사업, 데이터집필사업, 멀티미디어제작사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