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연구 활동

사회민속-고건축 조사

사회민속조사란
사회민속조사란 사람들의 생활과정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사회문화현상을 기록·보존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조사이다.

사회민속조사 분야

구분 세부내용
문화자원 조사
마을지 작성 개발에 의해 사라지는 마을 또는 보존가치가 있는 마을에 대해 현장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책(보고서) 또는 다양한 매체(영상, 홈페이지, 사진 등)을 통해 기록 및 보존하는 작업
고건축 조사 한국건축역사의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건축의 미래를 연구하며, 고건축과 근대건축물에 대한 기록·보전, 매장유산 수리 복원 등 건축물 조사가 주된 분야임
디지털향토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과 함께 전국의 향토문화자료를 발굴, 이를 디지털화하여 디지털 지역문화대전을 구축하는 작업
무형문화유산 및 마을 민속 조사
무형문화유산의 전승과 보존을 위한 기록화 및 연구를 진행하고, 개발 과정에서 사라지는 마을에 대한 기록 및 민속 자원을 조사 및 연구 기록하고 있습니다.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원고 및 멀티미디어 작업
무형문화유산 기록화 사업
마을 및 역사문화자원 조사
교육 및 체험 활동
국가유산 연구 활동을 함께 공유하고 홍보하기 위한 일환으로 교육 전문 사회적기업 ㈜한결과 함께 교육 및 체험 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2013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기부기관 인증
2013 대한민국 교육기부 대상 선정(교육부장관상 수상)
2014 대한민국 교육기부 대상
매장유산활용교육사업 진행(한국문화유산협회, 국가유산청)
해외 연구 및 활동
비교문화적 관점과 문화적 다양성을 이해하기 위한 일환으로 국외 문화유산 기관과 관계를 맺고 조사 연구를 시행하며, 이에 대한 결과물은 도서로 발간하여 대외적으로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2009 중국 운남대학교박물관 교류 협력 및 전시
2014 미얀마 토기마을 조사 및 전시 도서 발간
2024 우즈베키스탄 테르메즈박물관 교류 협력 및 전시 도록 발간
2025 키르키스탄 역사박물관 교류 협력 및 전시 도록 발간
고건축 조사
고건축 조사로 한국건축역사의 연구를 주요 과제로 삼으며 고건축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한국을 비롯한 동양건축의 역사적 해석을 바탕으로 새로운 한국건축의 미래를 연구하고 있다.
또한 건축물 조사를 병행하고 있으며, 건축물 조사는 고건축과 근대건축물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조사이다. 기록, 보존 및 학술자료 구축, 나아가 매장유산 수리 복원 및 고증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기록화 사업, 그리고 지역의 고건축물 자료 조사 등이 있다.

주요 연구실적

2010년 영천의 전통건축물 조사
봉화의 전통건축물 조사
2011년~2012년 도청이전부지 내 기록화 보고서 - 갈전리 우헌고택

매장유산 현상변경 기준안 마련

매장유산 현상변경이란 사업시행자가 매장유산 원래의 모양이나 현재의 상태를 바꾸는 행위. 그리고 매장유산를 둘러싸고 있는 주변 환경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행위를 말한다. 이러한 매장유산 현상변경에 대하여 기준안을 마련하여 매장유산을 보호하고 있다.

주요 연구실적

2009년~2010년 영양군 지정 매장유산 주변 현상변경 기준(안) 마련 연구용역 - 두물마을, 주실마을
2010년 영양군 지정 매장유산 주변 현상변경 기준(안) 마련 연구용역 - 영양 취수담
2012년 영양군 도지정 매장유산 주변 현상변경 기준(안) 마련 연구용역 - 영양 장열공사당
매장유산정비란
매장유산 정비는 지역에 소재하는 매장유산을 체계적이며 지속적으로 관리 및 보존, 나아가 매장유산의 활용가치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계획을 수립하는 작업이다.

매장유산 정비 분야

구분 세부내용
매장유산 정비복원 지역에 소재하는 매장유산을 체계적이며 지속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실효성 있는 정비복원을 수립하고 이를 역사·문화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활용계획을 수립하는 작업
매장유산 상시 관리 및 수리보수 지역의 지정·비지정 매장유산에 대한 지속적 모니터링을 통하여 매장유산 상시 관리 업무를 수행하고 이를 수리보수하는 작업
매장유산 관련 서적 발간 매장유산 관련 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서적으로 발간하는 작업

매장유산정비복원

매장유산정비복원이란

문화유적 및 지정매장유산의 보존과 활용을 위해 기초연구, 학술조사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정비방안과 활용계획을 수립한다. 이를 바탕으로 한 지역의 문화관광자원 및 역사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기 위한 기본계획 수립을 말한다.

주요 연구실적

2005년 고속도로 제1호선 경산휴게소 신상리고분 복원 학술용역
2006년 왜관2산단 진입도로(1단계) 매장유산 이전 복원 용역
2007년 예천원산성 복원을 위한 정밀지표조사
2010년 포항 흥곡리 고분군 정밀지표조사 및 공원화 방안
2011년 격암 남사고 전시관 야외패널 제작
2012년 칠곡 관호토성 학술조사(정밀지표조사 및 기본계획수립) 용역

매장유산 관련 서적 발간

매장유산 관련 서적 발간

경상북도 소재 주요 매장유산에 대해 학술조사를 실시하여 관련 자료를 수집, 정리하고 이를 서적으로 발간하는 작업이다.
이 자료들은 향후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문화유산 정보화 작업의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주요 연구실적

2006년 일반동산매장유산 다량 소장처 실태조사 - 청도군
2010~2011년 청도의 금석문 자료집 발간 용역
2011년 청도의 고건축물 발간 용역
향토문화전자대전
향토문화전자대전 구축은 지역의 향토문화자료를 총체적으로 발굴, 분석하여 지역의 향토문화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하는 작업이다. 본 연구원은 2004년부터 한국학중앙연구원과 함께 울릉군을 시작으로 향토문화전자대전 구축에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주요 연구실적

2006~2007년 디지털울릉문화대전 기초조사연구사업
2008년 디지털울진문화대전 데이터집필사업, 멀티미디어제작사업
2008~2009년 디지털칠곡문화대전 데이터집필사업, 멀티미디어제작사업
2009년 디지털고령문화대전 멀티미디어제작사업
2011~2012년 디지털의성문화대전 멀티미디어제작사업
2011~2013년 디지털청도문화대전 기초조사연구사업, 데이터집필사업, 멀티미디어제작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