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 아카이빙

학술조사보고

도서명 영덕 성내리 예주복합어울림센터 조성부지 내 영덕 성내리 676-28번지 유적 (통일신라-고려시대)
학술조사보고 학술조사보고 제95책
인쇄일 2024-09-07
발행일 2024-09-07
기획/출판 콘텐츠카페 협동조합

 본 보고서는 영덕 성내리 예주복합어울림센터 조성부지 내 영덕 성내리 676-28번지 유적에 대한 매장유산1) 표본 및 발굴조사에 대한 내용이다.

 2022년 영덕군청 도시디자인과는 영덕군 영해면 성내리 676-12번지 외 9필지 일원에 도시재생뉴딜사업추진에 따라 예주복합어울림센터 건립을 계획하고, 문화관광과에 사업 검토를 요청하였다. 그 결과, 이 일대는 매장문화재(매장유산) 유존지역으로 「매장문화재 보호 및 조사에 관한 법률」 제11조(매장문화재 발굴허가 등)에 의거하여 매장문화재 표본조사를 우선 실시하고, 그 결과에 따라 추진하라는 의견을 통보하였다(영덕군청 문화관광과-5907. 2022.03.21.).

 이에 영덕군청 도시디자인과는 사업 시행에 앞서, 해당 지역에 대한 매장유산의 유존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원에 표본조사를 의뢰하였고, 상호 용역 계약을 체결하였다(영덕군청 도시디자인과-69497. 2022.06.10.).

 본 연구원은 2022년 6월 20일부터 21일까지(실조사일수 2일) 사업대상지(1,325㎡)에 대한 전체 표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총 3개 트렌치 중 1개 트렌치 내부에서 수혈 2기 등의 유구와 기와편, 자기편 등의 유물을 확인하였다2). 따라서 본 연구원은 2022년 6월 21일 현장 학술자문회의(대구한의대학교 교수 김세기, 계명대학교 교수 김권구)를 거쳐 유구와 유물이 확인되는 영해면 성내리 676-28번지 외 3필지 일원(180㎡)에 대한 발굴조사를 추진하였다.

 본 연구원은 2022년 7월 29일 문화재청(국가유산청) 허가(발굴제도과-9287, 허가 제2022-1150호)를 받아 2022년 8월 29일부터 9월 7일까지(실조사일수 5일) 조사대상지(180㎡)에 대한 현장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통일신라시대 매납유구 1기와 고려시대 수혈유구 2기가 확인되었다. 유물은 매납유구에서 주름문병 1점, 수혈유구 내부에서 청자저부편 1점, 명문암키와편 1점, 암키와편 1점, 수키와 1점이 출토되었다. 한편 유구확인을 위한 제토작업 중 수습된 분청사기 1점을 포함하여 총 6건 6점 유물을 수습하였다3).

본문

 본 보고서는 영덕 성내리 예주복합어울림센터 조성부지 내 영덕 성내리 676-28번지 유적에 대한 매장유산1) 표본 및 발굴조사에 대한 내용이다.

 2022년 영덕군청 도시디자인과는 영덕군 영해면 성내리 676-12번지 외 9필지 일원에 도시재생뉴딜사업추진에 따라 예주복합어울림센터 건립을 계획하고, 문화관광과에 사업 검토를 요청하였다. 그 결과, 이 일대는 매장문화재(매장유산) 유존지역으로 「매장문화재 보호 및 조사에 관한 법률」 제11조(매장문화재 발굴허가 등)에 의거하여 매장문화재 표본조사를 우선 실시하고, 그 결과에 따라 추진하라는 의견을 통보하였다(영덕군청 문화관광과-5907. 2022.03.21.).

 이에 영덕군청 도시디자인과는 사업 시행에 앞서, 해당 지역에 대한 매장유산의 유존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원에 표본조사를 의뢰하였고, 상호 용역 계약을 체결하였다(영덕군청 도시디자인과-69497. 2022.06.10.).

 본 연구원은 2022년 6월 20일부터 21일까지(실조사일수 2일) 사업대상지(1,325㎡)에 대한 전체 표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총 3개 트렌치 중 1개 트렌치 내부에서 수혈 2기 등의 유구와 기와편, 자기편 등의 유물을 확인하였다2). 따라서 본 연구원은 2022년 6월 21일 현장 학술자문회의(대구한의대학교 교수 김세기, 계명대학교 교수 김권구)를 거쳐 유구와 유물이 확인되는 영해면 성내리 676-28번지 외 3필지 일원(180㎡)에 대한 발굴조사를 추진하였다.

 본 연구원은 2022년 7월 29일 문화재청(국가유산청) 허가(발굴제도과-9287, 허가 제2022-1150호)를 받아 2022년 8월 29일부터 9월 7일까지(실조사일수 5일) 조사대상지(180㎡)에 대한 현장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통일신라시대 매납유구 1기와 고려시대 수혈유구 2기가 확인되었다. 유물은 매납유구에서 주름문병 1점, 수혈유구 내부에서 청자저부편 1점, 명문암키와편 1점, 암키와편 1점, 수키와 1점이 출토되었다. 한편 유구확인을 위한 제토작업 중 수습된 분청사기 1점을 포함하여 총 6건 6점 유물을 수습하였다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