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 아카이빙

학술조사보고

도서명 용인 유방동(산2-2번지 일원) 근린생활시설 신축부지 내 용인 유방동 산2-2번지 유적 (청동기-조선시대)
학술조사보고 학술조사보고 제93책
인쇄일 2024-07-14
발행일 2024-07-14
기획/출판 콘텐츠카페 협동조합

 본 보고서는 용인 유방동 근린생활시설 신축부지 내용인 유방동 산2-2번지 유적에 대한 문화재 정밀발굴조사 내용이다. 조사의뢰인 양국진씨(이하 사업시행자)는 경기도 용인특례시 처인구 유방동 산 2-2번지 일대(10,765㎡)에 대해 근린생활시설 신축을 계획하고 있다. 사업 시행에 앞서 사업부지 내 매장문화재의 분포와 범위를 확인하여 추후 개발사업과 문화유적 보존의 효과적인 방안을 수립하고자 지표조사를 시행하였다.

 지표조사는 2021년 11월 11일-17일간 한국문화유산연구원에 의해 진행되었다. 조사 결과 일부 형질변경이 이루어졌으며 매장문화재와 관련된 유구가 노출되거나 유물이 수습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완만한 경사 지형에 원 지형이 잔존하고, 반경 500m 주변의 영문리 산45번지 유적과 유방동 산12번지 유적에서 청동기시대 주거지와 수혈, 조선시대 건물지와 토광묘 등이 확인된 사례가 있어서 유적의 유존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보았다. 이에 사업 시행 이전에 사업대상지 10,765㎡면적에 대해 표본조사를 실시하여 매장문화재의 유존 여부를 확인1)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지표조사 결과에 따라 사업시행자는 혜안문화재연구원에 사업대상지 일대에 대한 표본조사를 의뢰하였다. 표본조사는 2022년 04월 14일-15일간 13개소의 트렌치 조사가 진행되었다. 그 결과 북서쪽 능선의 Tr.3,5와 북동쪽 능선 사면의 Tr.6~8에서 토광묘와 수혈 등의 유구가 확인되었다. 

본문

 본 보고서는 용인 유방동 근린생활시설 신축부지 내용인 유방동 산2-2번지 유적에 대한 문화재 정밀발굴조사 내용이다. 조사의뢰인 양국진씨(이하 사업시행자)는 경기도 용인특례시 처인구 유방동 산 2-2번지 일대(10,765㎡)에 대해 근린생활시설 신축을 계획하고 있다. 사업 시행에 앞서 사업부지 내 매장문화재의 분포와 범위를 확인하여 추후 개발사업과 문화유적 보존의 효과적인 방안을 수립하고자 지표조사를 시행하였다.

 지표조사는 2021년 11월 11일-17일간 한국문화유산연구원에 의해 진행되었다. 조사 결과 일부 형질변경이 이루어졌으며 매장문화재와 관련된 유구가 노출되거나 유물이 수습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완만한 경사 지형에 원 지형이 잔존하고, 반경 500m 주변의 영문리 산45번지 유적과 유방동 산12번지 유적에서 청동기시대 주거지와 수혈, 조선시대 건물지와 토광묘 등이 확인된 사례가 있어서 유적의 유존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보았다. 이에 사업 시행 이전에 사업대상지 10,765㎡면적에 대해 표본조사를 실시하여 매장문화재의 유존 여부를 확인1)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지표조사 결과에 따라 사업시행자는 혜안문화재연구원에 사업대상지 일대에 대한 표본조사를 의뢰하였다. 표본조사는 2022년 04월 14일-15일간 13개소의 트렌치 조사가 진행되었다. 그 결과 북서쪽 능선의 Tr.3,5와 북동쪽 능선 사면의 Tr.6~8에서 토광묘와 수혈 등의 유구가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