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 아카이빙

학술조사보고

도서명 포항 블루밸리 개발사업부지 내 포항 중산리·죽정리·정천리·공당리·성동리 유적 (청동기-조선시대)
학술조사보고 학술조사보고 제90책
인쇄일 2023-11-12
발행일 2023-11-12
기획/출판 콘텐츠카페 협동조합

 본보고서는 포항 블루밸리 개발사업 부지 내 유적 표본조사, 시굴조사, 정밀발굴조사에 관한 내용이다. 한국토지주택공사 대구경북지역본부는 포항시 남구 동해면·장기면·구룡포읍 일원에 블루밸리 개발사업을 시행을 계획하였다. 이 사업은 2008년 당시에 ‘포항국가산업단지’ 지구 조성사업이라는 명칭으로 대구대학교 중앙박물관에서 지표조사를 실시하였다. 당시 조사에서 지석묘(군) 6개소, 유물산포지 28개소, 고묘(군) 8개소가 확인되었다.1)

 이후 2014년 한국토지주택공사는 동일 사업지구의 명칭을 ‘블루밸리 산업지구’로 변경하고 사업경계가 변경되는 부분이 있어 추가되는 부분과 축소되는 부분에 대한 보완조사를 대구대학교 중앙박물관에 의뢰하여 추가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2008년 조사에서 확인된 유적과 비교하여 고분군 2개소와 유물산포지 1개소가 추가되었으며, 6개소는 이번 사업경계를 벗어나 제외되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확인된 유물산포지 중 사업범위 내에 포함되는 유적은 시굴조사대상지 31개소, 유구분포확인조사대상지(표본조사) 4개소로 설정되었다.2)

 이에 한국토지주택공사 대구경북지역본부는 각각의 유물산포지에 대해 2013년 7월 23일 입찰을 실시하였고 본 연구원이 응찰하여 7월 25일 낙찰을 받았다. 이후 우리 연구원은 문화재청으로부터 발굴조사 허가(허가 제2014-0951호)를 득한 후 2014년 10월 현장조사에 착수하였다. 당시 대규모 국책사업의 특성상 토지보상, 지장물철거 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였으며, 이러한 현장 상황을 감안하여 우선 보상과 지장물이 철거가 완료 된 순서로 현장 조사를 진행하였다.

본문

 본보고서는 포항 블루밸리 개발사업 부지 내 유적 표본조사, 시굴조사, 정밀발굴조사에 관한 내용이다. 한국토지주택공사 대구경북지역본부는 포항시 남구 동해면·장기면·구룡포읍 일원에 블루밸리 개발사업을 시행을 계획하였다. 이 사업은 2008년 당시에 ‘포항국가산업단지’ 지구 조성사업이라는 명칭으로 대구대학교 중앙박물관에서 지표조사를 실시하였다. 당시 조사에서 지석묘(군) 6개소, 유물산포지 28개소, 고묘(군) 8개소가 확인되었다.1)

 이후 2014년 한국토지주택공사는 동일 사업지구의 명칭을 ‘블루밸리 산업지구’로 변경하고 사업경계가 변경되는 부분이 있어 추가되는 부분과 축소되는 부분에 대한 보완조사를 대구대학교 중앙박물관에 의뢰하여 추가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2008년 조사에서 확인된 유적과 비교하여 고분군 2개소와 유물산포지 1개소가 추가되었으며, 6개소는 이번 사업경계를 벗어나 제외되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확인된 유물산포지 중 사업범위 내에 포함되는 유적은 시굴조사대상지 31개소, 유구분포확인조사대상지(표본조사) 4개소로 설정되었다.2)

 이에 한국토지주택공사 대구경북지역본부는 각각의 유물산포지에 대해 2013년 7월 23일 입찰을 실시하였고 본 연구원이 응찰하여 7월 25일 낙찰을 받았다. 이후 우리 연구원은 문화재청으로부터 발굴조사 허가(허가 제2014-0951호)를 득한 후 2014년 10월 현장조사에 착수하였다. 당시 대규모 국책사업의 특성상 토지보상, 지장물철거 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였으며, 이러한 현장 상황을 감안하여 우선 보상과 지장물이 철거가 완료 된 순서로 현장 조사를 진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