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한국토지주택공사 대구경북지역본부는 경북 경산시 진량읍 대원리, 신제리, 광석리 일대에 일반지방산업단지 조성을 계획하고 있었다. 이에 사업시행에 앞서 2002년 12월 (재)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에서 공단조성부지에 대해 지표조사를 실시하였다. 지표조사 결과를 토대로 한국토지주택공사는 2007년 5월 7일 한빛문화재연구원(당시 대경문화재연구원)에 시굴조사를 의뢰하였다. 시굴조사는 2007년 7~8월에 걸쳐 문화재청 허가 제2007-427호(2007. 6. 1)를 받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대원리, 신제리, 광석리유적에서 삼국~조선시대에 이르는 고분군 및 생활유구가 다량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한국토지주택공사는 재차 한빛문화재연구원(당시 대경문화재연구원)에 발굴조사를 의뢰하였고, 본 연구원은 2008년 1월 3일 현장조사에 착수하여 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후 2008년 4월 19일 우선적으로 조사가 완료된 대원리유적Ⅰ과 신제리유적에 대해 1차 현장지도위원회를 개최하였고, 지도위원회 개최후 대원리유적Ⅰ과 신제리유적에 대한 부분완료조치를 문화재청에 보고하였다. 이후 대원리유적Ⅱ와 광석리유적에 대해서도 조사를 실시하였고, 대원리유적Ⅱ에서 삼국시대 봉토분 2기와 석곽묘군, 화장묘 등이, 광석리유적에서는 원삼국시대 목관묘군과 고려~조선시대 생활유구들이 집중적으로 확인되었다. 현장조사가 실시과정에서 광석리유적 남쪽경계 밖으로 유구들이 계속적으로 이어져 분포하는 것이 간취되어 한국토지주택공사와 협의한 후에 유구탐색트렌치를 설치하였다. 유구탐색트렌치에 대한 조사 결과에서 원삼국시대 목관묘와 구, 적심유구, 건물지, 석렬군, 수혈군, 주혈군 등이 집중적으로 확인되었다.
Ⅰ. 머리말 15
Ⅱ. 유적의 개관 18
Ⅲ. 조사방법 및 층위 30
Ⅳ. 조사내용 35
___가. 대원리 유적 Ⅰ
___나. 대원리 유적 Ⅱ
___다. 신제리 유적
라. 광석리 유적
Ⅴ. 고찰 357
- 이전글경산 진량2일반산업단지지구외 도시계획도로부지내 문화유적시술조사 보고서 25.07.04
- 다음글상주 하송리 310-1번지 유적 25.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