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 아카이빙

학술조사보고

도서명 김천 문무리 유적
학술조사보고 제33책
인쇄일 2013-05-01
발행일 2013-05-01
기획/출판 명성기획인쇄사

김천 문무리 유적은 김천시 감문면 문무리와 상주시 공성면 이화리를 연결하는 지방도 997호(김천~상주)의 교통기반 구축과 낙후지역개발 촉진 등을 위해 경상북도종합건설사업소에서 실시한 도로확포장공사 구간 내 발굴조사에서 확인된 유적이다.

사업 시행에 앞서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에서 2007년 7월 이 도로구간에 대한 지표조사를 실시한 결과, 삼국시대 고분군 2개소와 유물산포지 1개소가 확인되어 공사 전 시굴조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이 결과에 따라 2009년 2월 본 연구원에 시굴조사를 의뢰하였으며, 도로 사업구간 내 문화유적의 성격과 범위, 유물의 내용 등을 밝히기 위한 시굴조사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 계획을 바탕으로 2009년 5월 문화재청의 발굴조사 허가(제2009-370호, 2009. 05. 01)를 받아 2009년 6월 15일부터 7월 3일까지 시굴조사를 하였으며, 그 결과 지표조사에서 유물산포지로 표기된 Ⅰ구역에서 소토흔 등의 생활 유적이, 지표조사에서 고분으로 기재된 Ⅱ구역에서는 석곽묘 등이 노출되었다. 이에 문화재청에 발굴조사 변경 허가를 받아 발굴조사가 실시되었다. 발굴조사는 2009년 12월 23일부터 2011년 5월 14일까지 진행되었으며, 4차에 걸쳐 지도위원회를 개최하였다.

조사결과, Ⅰ~Ⅲ구역에서는 봉토분 10기, 석곽묘 59기, 석실묘 1기, 옹관묘 6기, 고려~조선 토광묘 4기 등 분묘가 발굴되었고 Ⅳ구역에서는 주거지 4동, 야철지 1기가 조사되었다. 유물은 토도류 344점, 금속류 302점, 옥석류 8점 등 모두 635건 654점이 출토되었다.
 



Ⅰ. 머리말 1

Ⅱ. 유적의 위치와 환경 3

Ⅲ. 조사방법 및 층위 13

Ⅳ. 조사내용 15

___가. Ⅰ구역

___나. Ⅱ구역

___다. Ⅲ구역

___라. Ⅳ구역

Ⅴ. 고찰 333

Ⅵ. 맺음말 354

참고문헌 356

출토유물목록 539

본문

김천 문무리 유적은 김천시 감문면 문무리와 상주시 공성면 이화리를 연결하는 지방도 997호(김천~상주)의 교통기반 구축과 낙후지역개발 촉진 등을 위해 경상북도종합건설사업소에서 실시한 도로확포장공사 구간 내 발굴조사에서 확인된 유적이다.

사업 시행에 앞서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에서 2007년 7월 이 도로구간에 대한 지표조사를 실시한 결과, 삼국시대 고분군 2개소와 유물산포지 1개소가 확인되어 공사 전 시굴조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이 결과에 따라 2009년 2월 본 연구원에 시굴조사를 의뢰하였으며, 도로 사업구간 내 문화유적의 성격과 범위, 유물의 내용 등을 밝히기 위한 시굴조사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 계획을 바탕으로 2009년 5월 문화재청의 발굴조사 허가(제2009-370호, 2009. 05. 01)를 받아 2009년 6월 15일부터 7월 3일까지 시굴조사를 하였으며, 그 결과 지표조사에서 유물산포지로 표기된 Ⅰ구역에서 소토흔 등의 생활 유적이, 지표조사에서 고분으로 기재된 Ⅱ구역에서는 석곽묘 등이 노출되었다. 이에 문화재청에 발굴조사 변경 허가를 받아 발굴조사가 실시되었다. 발굴조사는 2009년 12월 23일부터 2011년 5월 14일까지 진행되었으며, 4차에 걸쳐 지도위원회를 개최하였다.

조사결과, Ⅰ~Ⅲ구역에서는 봉토분 10기, 석곽묘 59기, 석실묘 1기, 옹관묘 6기, 고려~조선 토광묘 4기 등 분묘가 발굴되었고 Ⅳ구역에서는 주거지 4동, 야철지 1기가 조사되었다. 유물은 토도류 344점, 금속류 302점, 옥석류 8점 등 모두 635건 654점이 출토되었다.
 



Ⅰ. 머리말 1

Ⅱ. 유적의 위치와 환경 3

Ⅲ. 조사방법 및 층위 13

Ⅳ. 조사내용 15

___가. Ⅰ구역

___나. Ⅱ구역

___다. Ⅲ구역

___라. Ⅳ구역

Ⅴ. 고찰 333

Ⅵ. 맺음말 354

참고문헌 356

출토유물목록 5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