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 아카이빙

학술조사보고

도서명 영양 주곡리 유적
학술조사보고 제23책
인쇄일 2011-12-01
발행일 2011-12-01
기획/출판 명성기획인쇄사

영양군은 영양군 일월면 가곡리와 주곡리 일원에 고추산업단지특구 조성사업을 계획하고 사업시행에 앞서 2007년에 대경문화재연구원에 지표조사를 의뢰하였다. 이에 대경문화재연구원은 사업부지를 2개 구역으로 나누어 지표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Ⅰ구역인 가곡리 일원에서 소량의 토기·자기편을, Ⅱ구역인 주곡리 일원에서는 선사시대의 (추정)석기·통일신라시대 토기편·조선시대 자기편 등을 다량 수습하였다2). 이러한 결과에 따라 조사단은 Ⅰ구역은 분포확인조사, Ⅱ구역은 시굴조사의 필요성을 제기하여 2008년 문화재청으로부터 허가 제2008-473호(2008.07.09)를 받아 2008년 09월 10일부터 11월 21일까지 시굴·표본조사를 진행하였다.

시굴조사 결과를 토대로 문화재청에 조사기간 연장을 요청하여 승인을 받았으며, 2009년 3월에 사단법인 대경문화재연구원이 재단법인 한빛문화재연구원으로 변경되어 한빛문화재연구원에서 2009년 06월 17일부터 발굴조사에 착수하였다. 사업부지내 신설도로구간의 공사시행이 시급하다는 영양군의 요청에 의해 2009년 09월 04일에 1차 지도위원회를 개최한 바 신설도로구간(1-1구역, 도면 1 참조)에 대한 부분완료 후 공사를 할 수 있게 결정되었다. 부분완료 이외의 부지(1-2·2구역)에 대한 조사는 12월 31일까지 진행되었다. 발굴조사 결과 주거지 4동과 굴립주건물지 10동, 수혈 40기, 주혈열 1동, 구 3기가 조사되었으며 유물은 78점이 출토되었다.
 



Ⅰ. 머리말 1

Ⅱ. 유적의 위치와 환경 3

Ⅲ. 조사방법 및 층위 13

Ⅳ. 조사내용 17

___가. 1구역

___나. 2구역

___다. 지표채집유물

Ⅴ. 고찰 87

Ⅵ. 부록 89

본문

영양군은 영양군 일월면 가곡리와 주곡리 일원에 고추산업단지특구 조성사업을 계획하고 사업시행에 앞서 2007년에 대경문화재연구원에 지표조사를 의뢰하였다. 이에 대경문화재연구원은 사업부지를 2개 구역으로 나누어 지표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Ⅰ구역인 가곡리 일원에서 소량의 토기·자기편을, Ⅱ구역인 주곡리 일원에서는 선사시대의 (추정)석기·통일신라시대 토기편·조선시대 자기편 등을 다량 수습하였다2). 이러한 결과에 따라 조사단은 Ⅰ구역은 분포확인조사, Ⅱ구역은 시굴조사의 필요성을 제기하여 2008년 문화재청으로부터 허가 제2008-473호(2008.07.09)를 받아 2008년 09월 10일부터 11월 21일까지 시굴·표본조사를 진행하였다.

시굴조사 결과를 토대로 문화재청에 조사기간 연장을 요청하여 승인을 받았으며, 2009년 3월에 사단법인 대경문화재연구원이 재단법인 한빛문화재연구원으로 변경되어 한빛문화재연구원에서 2009년 06월 17일부터 발굴조사에 착수하였다. 사업부지내 신설도로구간의 공사시행이 시급하다는 영양군의 요청에 의해 2009년 09월 04일에 1차 지도위원회를 개최한 바 신설도로구간(1-1구역, 도면 1 참조)에 대한 부분완료 후 공사를 할 수 있게 결정되었다. 부분완료 이외의 부지(1-2·2구역)에 대한 조사는 12월 31일까지 진행되었다. 발굴조사 결과 주거지 4동과 굴립주건물지 10동, 수혈 40기, 주혈열 1동, 구 3기가 조사되었으며 유물은 78점이 출토되었다.
 



Ⅰ. 머리말 1

Ⅱ. 유적의 위치와 환경 3

Ⅲ. 조사방법 및 층위 13

Ⅳ. 조사내용 17

___가. 1구역

___나. 2구역

___다. 지표채집유물

Ⅴ. 고찰 87

Ⅵ. 부록 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