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 아카이빙

학술조사보고

도서명 경산 내리리 유적(Ⅰ,Ⅱ)
학술조사보고 제22책
인쇄일 2011-10-01
발행일 2011-10-01
기획/출판 한진기획종합인쇄사

경산 내리리 유적은 행정구역상 경산시 진량읍 내리리 산 10번지 일원에 해당하며, 동경 128°50'37", 북위 35°54'24"지점에 위치한다. 주변지형은 해발 102m의 야산에서 뻗어 내린 능선의 서쪽과 남쪽 자락의 해발 58~77m 정도의 구릉상에 해당한다. 이곳은 금호강과 대창천이 합류하는 지점이며 자인, 진량, 압량면에 넓게 분포하는 구릉성 침식저지로, 북쪽으로 금호강의 범람으로 인해 형성된 충적평야지대가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곳이다. 이러한 입지적 요건으로 시굴조사 결과 청동기시대~조선시대에 이르는 다양한 유구가 확인되었으며, 시굴조사 결과를 토대로 실시하여 발굴조사에서도 다양한 성격의 유구들이 조사되었다.
 



Ⅰ. 머리말 1

Ⅱ. 유적의 위치와 환경 4

Ⅲ. 조사방법 및 층위 16

Ⅳ. 조사내용 18 

  1. 청동기시대
  2. 초기철기~원삼국시대
  3. 조선시대
  4. 근대유구
  5. 시대불명
  6. 지표 채집유물

Ⅴ. 고찰 63

Ⅵ. 맺음말 84

본문

경산 내리리 유적은 행정구역상 경산시 진량읍 내리리 산 10번지 일원에 해당하며, 동경 128°50'37", 북위 35°54'24"지점에 위치한다. 주변지형은 해발 102m의 야산에서 뻗어 내린 능선의 서쪽과 남쪽 자락의 해발 58~77m 정도의 구릉상에 해당한다. 이곳은 금호강과 대창천이 합류하는 지점이며 자인, 진량, 압량면에 넓게 분포하는 구릉성 침식저지로, 북쪽으로 금호강의 범람으로 인해 형성된 충적평야지대가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곳이다. 이러한 입지적 요건으로 시굴조사 결과 청동기시대~조선시대에 이르는 다양한 유구가 확인되었으며, 시굴조사 결과를 토대로 실시하여 발굴조사에서도 다양한 성격의 유구들이 조사되었다.
 



Ⅰ. 머리말 1

Ⅱ. 유적의 위치와 환경 4

Ⅲ. 조사방법 및 층위 16

Ⅳ. 조사내용 18 

  1. 청동기시대
  2. 초기철기~원삼국시대
  3. 조선시대
  4. 근대유구
  5. 시대불명
  6. 지표 채집유물

Ⅴ. 고찰 63

Ⅵ. 맺음말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