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 아카이빙

학술조사보고

도서명 울진 오산리 931번지 유적
학술조사보고 제21책
인쇄일 2011-10-01
발행일 2011-10-01
기획/출판 명성기획인쇄사

발굴조사지역은 행정구역상 경북 울진군 원남면 오산리 931번지 일원으로 오산1리 마을의 북쪽 큰 고갓터골과 우물골 사이의 해발 약 51m 구릉 남사면 말단부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발굴조사 결과 조사대상지 북쪽에서 신석기시대 주거지 1동과 원삼국시대 주거지 5동, 조사대상지 남쪽에서 시대미상의 경작유구가 확인되었다. 경작유구는 북쪽 산사면에서 흘러온 퇴적층으로 근대 경작층과 연결되나 평면과 단면상에서 명확한 경작 행위가 이루어진 흔적은 확인되지 않는다(한빛문화재연구원, 2009). 시대미상의 경작유구에 대한 식물규산체 분석 결과, 조사지역의 중앙부를 횡단하는 구상유구의 남쪽 지역은 수전층이 존재하고 있음이 밝혀졌다(한국지질환경연구소, 2010).
 



제1장 서론 117

제2장 식물유체 분석법 119

제3장 식물유체 분석결과 120

제4장 고찰 127

제5장 결론 128

참고문헌 129

본문

발굴조사지역은 행정구역상 경북 울진군 원남면 오산리 931번지 일원으로 오산1리 마을의 북쪽 큰 고갓터골과 우물골 사이의 해발 약 51m 구릉 남사면 말단부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발굴조사 결과 조사대상지 북쪽에서 신석기시대 주거지 1동과 원삼국시대 주거지 5동, 조사대상지 남쪽에서 시대미상의 경작유구가 확인되었다. 경작유구는 북쪽 산사면에서 흘러온 퇴적층으로 근대 경작층과 연결되나 평면과 단면상에서 명확한 경작 행위가 이루어진 흔적은 확인되지 않는다(한빛문화재연구원, 2009). 시대미상의 경작유구에 대한 식물규산체 분석 결과, 조사지역의 중앙부를 횡단하는 구상유구의 남쪽 지역은 수전층이 존재하고 있음이 밝혀졌다(한국지질환경연구소, 2010).
 



제1장 서론 117

제2장 식물유체 분석법 119

제3장 식물유체 분석결과 120

제4장 고찰 127

제5장 결론 128

참고문헌 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