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 아카이빙

학술조사보고

도서명 경주 신상리 995-3번지 유적
학술조사보고 제15책
인쇄일 2010-12-01
발행일 2010-12-01
기획/출판 한진기획종합인쇄사

본 보고서는 한국도로공사 경북지역본부에서 실시하는 경산휴게소 시설개선 및 신상리 고분공원 조경개량사업부지내 문화유적 발굴조사에서 확인된 신상리 995-3번지유적에 대한 내용이다.

한국도로공사 경북지역본부는 경부고속도로 경산휴게소의 노후화된 시설 개선의 일환으로‘신상리고분공원’개량사업을 계획하고 공사에 앞서 문화재 보존대책수립을 위하여 본 연구원에 발굴조사를 의뢰해왔다. 이 지역에 대한 조사는 경부고속도로 확장과 신상리휴게소의 개선을 위해 영남대학교 박물관에서 최초 실시하였다. 1998년 3월 19일~7월 16일까지 지표조사가 실시되었으며, 지표조사 결과 유적의 존재가 확인되어2002년 6월 26일~8월 12일에 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시굴조사 결과 30여기 이상의 중ㆍ대형봉토분을 중심으로 수 백기 이상의 목관묘, 목곽묘, 적석목곽묘 등이 유존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1). 이에 고속도로확장 구간은 발굴조사를 실시하고, 휴게소 확장 부분에 대해서는 일부를 발굴하여 휴게소의 시설로 활용하며, 나머지 대부분은 현존하는 고분을 정비하여 고분공원을 조성함으로써 교육과 관광자료로 활용하기로 결정되었다. 이에 따라 발굴이 완료된 후 고분공원의 조경사업이 대경문화재연구원에 의해 시행되어2) 고분공원으로조성되어 한국도로공사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고분군 발굴조사는 2003년 4월 13일~11월 30일에 이루어졌다. 발굴조사는 경부고속도로를 기준으로 가(부산방향 하행선측 확장구간), 나(서울방향 상행선측 확장구간)지구로 구분하여 실시되었다. 발굴조사 결과5~6세기에 해당하는 분묘 87기가 발굴조사 되었고 1,300여점의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Ⅰ. 머리말 11

Ⅱ. 유적의 위치와 환경 13

Ⅲ. 조사경위 20

Ⅳ. 조사내용 22 

  1. 봉토
  2. 적석목곽묘
  3. 석실묘

Ⅴ. 고찰 및 맺음말 54



본문

본 보고서는 한국도로공사 경북지역본부에서 실시하는 경산휴게소 시설개선 및 신상리 고분공원 조경개량사업부지내 문화유적 발굴조사에서 확인된 신상리 995-3번지유적에 대한 내용이다.

한국도로공사 경북지역본부는 경부고속도로 경산휴게소의 노후화된 시설 개선의 일환으로‘신상리고분공원’개량사업을 계획하고 공사에 앞서 문화재 보존대책수립을 위하여 본 연구원에 발굴조사를 의뢰해왔다. 이 지역에 대한 조사는 경부고속도로 확장과 신상리휴게소의 개선을 위해 영남대학교 박물관에서 최초 실시하였다. 1998년 3월 19일~7월 16일까지 지표조사가 실시되었으며, 지표조사 결과 유적의 존재가 확인되어2002년 6월 26일~8월 12일에 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시굴조사 결과 30여기 이상의 중ㆍ대형봉토분을 중심으로 수 백기 이상의 목관묘, 목곽묘, 적석목곽묘 등이 유존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1). 이에 고속도로확장 구간은 발굴조사를 실시하고, 휴게소 확장 부분에 대해서는 일부를 발굴하여 휴게소의 시설로 활용하며, 나머지 대부분은 현존하는 고분을 정비하여 고분공원을 조성함으로써 교육과 관광자료로 활용하기로 결정되었다. 이에 따라 발굴이 완료된 후 고분공원의 조경사업이 대경문화재연구원에 의해 시행되어2) 고분공원으로조성되어 한국도로공사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고분군 발굴조사는 2003년 4월 13일~11월 30일에 이루어졌다. 발굴조사는 경부고속도로를 기준으로 가(부산방향 하행선측 확장구간), 나(서울방향 상행선측 확장구간)지구로 구분하여 실시되었다. 발굴조사 결과5~6세기에 해당하는 분묘 87기가 발굴조사 되었고 1,300여점의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Ⅰ. 머리말 11

Ⅱ. 유적의 위치와 환경 13

Ⅲ. 조사경위 20

Ⅳ. 조사내용 22 

  1. 봉토
  2. 적석목곽묘
  3. 석실묘

Ⅴ. 고찰 및 맺음말 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