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 아카이빙

학술조사보고

도서명 울진 표산 봉수대
학술조사보고 제46책
인쇄일 2015-03-01
발행일 2015-03-01
기획/출판 명성기획인쇄사

본 보고서는 경북 울진군 기성면 봉산리 277번지에 위치한 표산 봉수대 유적에 관한 내용으로 울진군청은 향후 봉수대에 관해 정확한 현황을 파악하고, 정비ㆍ보존의 기초자료를 확보하여 관광자원화 할 수 있는 자료를 획득하고자 (재)한빛문화재연구원 에 발굴조사를 의뢰하였다.

이에 본 연구원은 2006년 안동대학교박물관에서 실시한 지표조사결과를 토대로 문헌상 표산봉수로 명명되고 있는 이 일대(면적 320㎡)에 대해 발굴조사계획 수립하여 문화재청의 허가(허가 제2007-680호, 2007. 10. 10)를 득하였다.

발굴조사는 2008년 04월 21일 ~ 07월 16일에 걸쳐 봉수시설의 구조 및 그 시기를 밝히는데 주안점을 두고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기단, 연대, 오름시설, 호 및 석렬 등의 봉수와 직접 연관된 시설과 봉수대 주변으로 추정 창고지, 건물지, 채전지 등의 부속시설 및 민간신앙용 제단 등이 조사되었다. 이후 봉수대의 정확한 성격 및 추후 조사 진행방향을 잡고자 2008년 07월 15일 지도위원회를 개최한 결과 봉수대 일부를 해체 후 하부구조 파악을 위해 추가조사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울진군청은 문화재청에 긴급발굴조사를 추가로 요청하였고, 문화재청은 2012년 09월 05일 현장실사를 통해 봉수시설 1/4에 대해서만 긴급발굴조사를 승인(허가 제2012-1019호, 2012. 12. 13)하였다. 승인 결과에 따라 우리 연구원은 2013년 03월 11일 ~ 06월 24일 까지 추가조사를 실시하여 연대 하부 구조 및 여타 시설에 대해 객관적인 자료를 획득할 수 있었다.
 



Ⅰ. 머리말 15

Ⅱ. 유적의 위치와 환경 17

Ⅲ. 조사방법 및 층위 29

Ⅳ. 조사내용 32

___가. 봉수대

___나. 부대시설

___다. 제단

___라. 출토유물

Ⅴ. 고찰 및 맺음말 118

참고문헌 137

본문

본 보고서는 경북 울진군 기성면 봉산리 277번지에 위치한 표산 봉수대 유적에 관한 내용으로 울진군청은 향후 봉수대에 관해 정확한 현황을 파악하고, 정비ㆍ보존의 기초자료를 확보하여 관광자원화 할 수 있는 자료를 획득하고자 (재)한빛문화재연구원 에 발굴조사를 의뢰하였다.

이에 본 연구원은 2006년 안동대학교박물관에서 실시한 지표조사결과를 토대로 문헌상 표산봉수로 명명되고 있는 이 일대(면적 320㎡)에 대해 발굴조사계획 수립하여 문화재청의 허가(허가 제2007-680호, 2007. 10. 10)를 득하였다.

발굴조사는 2008년 04월 21일 ~ 07월 16일에 걸쳐 봉수시설의 구조 및 그 시기를 밝히는데 주안점을 두고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기단, 연대, 오름시설, 호 및 석렬 등의 봉수와 직접 연관된 시설과 봉수대 주변으로 추정 창고지, 건물지, 채전지 등의 부속시설 및 민간신앙용 제단 등이 조사되었다. 이후 봉수대의 정확한 성격 및 추후 조사 진행방향을 잡고자 2008년 07월 15일 지도위원회를 개최한 결과 봉수대 일부를 해체 후 하부구조 파악을 위해 추가조사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울진군청은 문화재청에 긴급발굴조사를 추가로 요청하였고, 문화재청은 2012년 09월 05일 현장실사를 통해 봉수시설 1/4에 대해서만 긴급발굴조사를 승인(허가 제2012-1019호, 2012. 12. 13)하였다. 승인 결과에 따라 우리 연구원은 2013년 03월 11일 ~ 06월 24일 까지 추가조사를 실시하여 연대 하부 구조 및 여타 시설에 대해 객관적인 자료를 획득할 수 있었다.
 



Ⅰ. 머리말 15

Ⅱ. 유적의 위치와 환경 17

Ⅲ. 조사방법 및 층위 29

Ⅳ. 조사내용 32

___가. 봉수대

___나. 부대시설

___다. 제단

___라. 출토유물

Ⅴ. 고찰 및 맺음말 118

참고문헌 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