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 아카이빙

학술조사보고

도서명 예천 산합리 유적
학술조사보고 제45책
인쇄일 2015-03-01
발행일 2015-03-01
기획/출판 명성기획인쇄사

경상북도는 2009년에 경북도청이전신도시 개발사업으로 인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문화재에 대하여 보존대책을 수립하고 효율적인 개발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재)한빛문화재연구원을 통해 고고, 역사, 사회·민속, 고건축 분야에 대한 지표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사업부지내에 유물산포지 12개소, 고묘군 13개소, 가마터 1개소 등의 매장문화재가 확인되었다. 이에 조사단은 사업이 시행될 경우 상기 유적에 대해 유적의 잔존여부와 종류·시대·분포범위 등을 밝히기 위해 지표상 육안으로 확인되는 봉분에 대해서는 발굴조사 의견을 제시하였고, 나머지 구역에 대해서는 시굴·표본조사 등의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에 경상북도개발공사는 사업대상지 중 고묘군 1개소(산합리 고묘군Ⅶ)발굴조사와 유물산포지 1개소(도양리 유물산포지Ⅳ) 시굴 및 표본조사를 본 연구원에 의뢰하였고, 문화재청 허가 제2012-0257호(2012.01.12)를 받아 본 연구원은 발굴조사 계약을 체결하고 조사하였다.

현장조사는 2012년 05월 25일에 착수하였으나 조사 도중 지장물 미철거(가옥, 비닐하우스 등)로 인해 2012년 08월 04일에 조사를 중지하였고, 이후 지장물이 철거된 시점인 2012년 11월 14일 조사에 재착수하여 발굴조사대상지(산합리 고묘군Ⅶ)와 시굴·표본조사대상지(도양리 유물산포지Ⅳ)에 대한 조사를 2013년 03월 31일 완료하였다.
 



Ⅰ. 머리말 1

Ⅱ. 유적의 위치와 환경 3

Ⅲ. 조사방법 및 층위 14

Ⅳ. 조사내용 18

___가. 봉토분

___나. 토광묘

___다. 가마

Ⅴ. 고찰 및 맺음말 31

참고문헌 33

본문

경상북도는 2009년에 경북도청이전신도시 개발사업으로 인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문화재에 대하여 보존대책을 수립하고 효율적인 개발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재)한빛문화재연구원을 통해 고고, 역사, 사회·민속, 고건축 분야에 대한 지표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사업부지내에 유물산포지 12개소, 고묘군 13개소, 가마터 1개소 등의 매장문화재가 확인되었다. 이에 조사단은 사업이 시행될 경우 상기 유적에 대해 유적의 잔존여부와 종류·시대·분포범위 등을 밝히기 위해 지표상 육안으로 확인되는 봉분에 대해서는 발굴조사 의견을 제시하였고, 나머지 구역에 대해서는 시굴·표본조사 등의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에 경상북도개발공사는 사업대상지 중 고묘군 1개소(산합리 고묘군Ⅶ)발굴조사와 유물산포지 1개소(도양리 유물산포지Ⅳ) 시굴 및 표본조사를 본 연구원에 의뢰하였고, 문화재청 허가 제2012-0257호(2012.01.12)를 받아 본 연구원은 발굴조사 계약을 체결하고 조사하였다.

현장조사는 2012년 05월 25일에 착수하였으나 조사 도중 지장물 미철거(가옥, 비닐하우스 등)로 인해 2012년 08월 04일에 조사를 중지하였고, 이후 지장물이 철거된 시점인 2012년 11월 14일 조사에 재착수하여 발굴조사대상지(산합리 고묘군Ⅶ)와 시굴·표본조사대상지(도양리 유물산포지Ⅳ)에 대한 조사를 2013년 03월 31일 완료하였다.
 



Ⅰ. 머리말 1

Ⅱ. 유적의 위치와 환경 3

Ⅲ. 조사방법 및 층위 14

Ⅳ. 조사내용 18

___가. 봉토분

___나. 토광묘

___다. 가마

Ⅴ. 고찰 및 맺음말 31

참고문헌 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