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 아카이빙

학술조사보고

도서명 포항 학전리 118 유적
학술조사보고 제40책
인쇄일 2013-12-01
발행일 2013-12-01
기획/출판 블루애드컴

한국철도시설공단은 자명리·학전리 구간에 대한 시굴조사를 본 연구원과 2013년 02월 08일에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2013년 02월 27일에 조사에 착수하여, 2013년 03월 22일 현장조사를 완료하였다. 시굴조사 결과 자명리에서는 유구가 확인되지 않았으나 학전리 능선정상부를 중심으로 트렌치 내부에서 고려~조선시대로 추정되는 토광묘, 소성유구와 함께 청동합, 토기편, 자기편 등이 출토되었다.

이에 유적이 확인된 학전리에 대하여 2013년 05월 20일에 발굴조사를 착수하였고, 2013년 08월 05일에 조사가 완료되었다. 이번 발굴조사는 시굴조사에서 유구가 확인된 3,000㎡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토광묘 17기, 수혈4기, 소성유구 1기 등 모두 22기의 유구가 시기를 달리하여 조사되었다. 내부에서 출토된 유물은 병, 대접, 청동합, 청동시, 청동저, 동곳, 관정, 불명철기 등 총 88점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Ⅰ. 머리말 13

Ⅱ. 유적의 위치와 환경 15

Ⅲ. 조사내용 25

___가. 토광묘

___나. 수혈

___다. 소성유구

Ⅳ. 고찰 및 맺음말 64

참고문헌 68

출토유물목록 70

본문

한국철도시설공단은 자명리·학전리 구간에 대한 시굴조사를 본 연구원과 2013년 02월 08일에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2013년 02월 27일에 조사에 착수하여, 2013년 03월 22일 현장조사를 완료하였다. 시굴조사 결과 자명리에서는 유구가 확인되지 않았으나 학전리 능선정상부를 중심으로 트렌치 내부에서 고려~조선시대로 추정되는 토광묘, 소성유구와 함께 청동합, 토기편, 자기편 등이 출토되었다.

이에 유적이 확인된 학전리에 대하여 2013년 05월 20일에 발굴조사를 착수하였고, 2013년 08월 05일에 조사가 완료되었다. 이번 발굴조사는 시굴조사에서 유구가 확인된 3,000㎡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토광묘 17기, 수혈4기, 소성유구 1기 등 모두 22기의 유구가 시기를 달리하여 조사되었다. 내부에서 출토된 유물은 병, 대접, 청동합, 청동시, 청동저, 동곳, 관정, 불명철기 등 총 88점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Ⅰ. 머리말 13

Ⅱ. 유적의 위치와 환경 15

Ⅲ. 조사내용 25

___가. 토광묘

___나. 수혈

___다. 소성유구

Ⅳ. 고찰 및 맺음말 64

참고문헌 68

출토유물목록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