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 아카이빙

학술조사보고

도서명 영덕 속곡리 92 유적
학술조사보고 제39책
인쇄일 2013-10-01
발행일 2013-10-01
기획/출판 블루애드컴

조사는 경북 영덕군 지품면 속곡리 일원에 농촌용수개발사업을 계획하고 있던 한국농어촌공사 영덕ㆍ울진지사는 사업시행에 앞서 매장문화재의 존재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2005년 위덕대학교 박물관에 문화재 지표조사를 의뢰하였다. 이후 실시한 지표조사결과, 토기편과 자기편 등이 다수 확인되어 시굴조사의 필요성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접한 한국농어촌공사는 2009년 11월 25일 한빛문화재연구원에 시굴조사를 의뢰해 왔으며, 본 연구원은 사업지구 내 문화유적의 성격과 범위, 유물의 내용 등을 밝히기 위해 문화재청의 허가(제2009-1053호)를 받았다. 2010년 01월 06일 시굴조사 계약을 체결하고, 2010년 01월 12일~4월 21일까지 시굴조사가 이루어졌다. 조사결과 삼국시대 옹관묘 1기와 조선시대 주거지 등이 확인되어, 주변으로 다양한 유구가 분포할 가능성이 높아 발굴조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후 한국농어촌공사에서는 다시 본 연구원에 발굴조사를 의뢰하였고, 2011년 5월 1일 조사단을 구성한 다음 현장조사에 착수하여, 2011년 10월 31일까지 조사를 완료하였다.
 



Ⅰ. 머리말 17

Ⅱ. 유적의 위치와 환경 19

Ⅲ. 조사내용 31

___가. 삼국시대

___나. 통일신라시대

___다. 조선시대

___라. 지표수습 유물

Ⅳ. 고찰 90

Ⅴ. 맺음말 97

참고문헌 98

출토유물목록 99

본문

조사는 경북 영덕군 지품면 속곡리 일원에 농촌용수개발사업을 계획하고 있던 한국농어촌공사 영덕ㆍ울진지사는 사업시행에 앞서 매장문화재의 존재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2005년 위덕대학교 박물관에 문화재 지표조사를 의뢰하였다. 이후 실시한 지표조사결과, 토기편과 자기편 등이 다수 확인되어 시굴조사의 필요성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접한 한국농어촌공사는 2009년 11월 25일 한빛문화재연구원에 시굴조사를 의뢰해 왔으며, 본 연구원은 사업지구 내 문화유적의 성격과 범위, 유물의 내용 등을 밝히기 위해 문화재청의 허가(제2009-1053호)를 받았다. 2010년 01월 06일 시굴조사 계약을 체결하고, 2010년 01월 12일~4월 21일까지 시굴조사가 이루어졌다. 조사결과 삼국시대 옹관묘 1기와 조선시대 주거지 등이 확인되어, 주변으로 다양한 유구가 분포할 가능성이 높아 발굴조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후 한국농어촌공사에서는 다시 본 연구원에 발굴조사를 의뢰하였고, 2011년 5월 1일 조사단을 구성한 다음 현장조사에 착수하여, 2011년 10월 31일까지 조사를 완료하였다.
 



Ⅰ. 머리말 17

Ⅱ. 유적의 위치와 환경 19

Ⅲ. 조사내용 31

___가. 삼국시대

___나. 통일신라시대

___다. 조선시대

___라. 지표수습 유물

Ⅳ. 고찰 90

Ⅴ. 맺음말 97

참고문헌 98

출토유물목록 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