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 아카이빙

학술조사보고

도서명 포항 내단리 유적
학술조사보고 제58책
인쇄일 2017-12-01
발행일 2017-12-01
기획/출판 시선과 프레임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은 흥해-기계2 국도건설공사 문화재 시굴조사를 발주하여 2013년 04월 09일 본 연구원 외 11개 조사기관에 시굴조사 참여 여부를 조회 하였다. 이에 우리 연구원은 조사의 타당성을 검토한 후 조사계획서를 제출하였다. 이 후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은 제출된 계획서의 검토 후 2013년 05월 20일 우리 연구원과 발굴(시굴)조사 협약을 맺고 2013년 08월 12일 문화재청으로부터 시굴조사(89,344㎡) 허가(제2013-0745호, 2013.08.12.)를 득하였다. 시굴조사는 2013년 08월 19일 조사에 착수하여 2015년 01월 03일 완료하였다. 조사는 국도건설의 특성상 지형적으로 좁고 군데군데 유적이 확인되지 않은 구역과 기존도로가 개설되어 있어 원활한 조사를 위해 6개 구역으로(표 1. 잠조) 나누어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C구역을 제외한 전 구간에서 조선시대 건물지, 구상유구, 수혈 등의 유구와 다수의 청동기시대 주거지가 발견되었다. 이에 우리 연구원은 유구가 발견된 면적에 대해서는 정밀발굴조사 의견을 제시 하였다. 정밀발굴조사는 2014년 06월 26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과 정밀발굴조사 협약 후, 문화재청으로부터 발굴 변경허가(제2013-0745호)를 득하였다. 이 후 조사는 2014년 07월 04일 착수하여 2015년 12월 13일 완료하였다. 조사결과 청동기시대 주거지, 조선시대 수혈, 구상유구, 삼가마, 고래, 아궁이 등의 다양한 유구가 발견되었다.
 



Ⅰ. 머리말 19

Ⅱ. 조사대상지와 그 주변환경 22

Ⅲ. 조사구역 구분과 조사방법 및 기록 35

Ⅳ. 층위 37

Ⅴ. 조사내용 41

Ⅵ. 고찰 435

Ⅶ. 맺음말 457

참고문헌 460

부록

본문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은 흥해-기계2 국도건설공사 문화재 시굴조사를 발주하여 2013년 04월 09일 본 연구원 외 11개 조사기관에 시굴조사 참여 여부를 조회 하였다. 이에 우리 연구원은 조사의 타당성을 검토한 후 조사계획서를 제출하였다. 이 후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은 제출된 계획서의 검토 후 2013년 05월 20일 우리 연구원과 발굴(시굴)조사 협약을 맺고 2013년 08월 12일 문화재청으로부터 시굴조사(89,344㎡) 허가(제2013-0745호, 2013.08.12.)를 득하였다. 시굴조사는 2013년 08월 19일 조사에 착수하여 2015년 01월 03일 완료하였다. 조사는 국도건설의 특성상 지형적으로 좁고 군데군데 유적이 확인되지 않은 구역과 기존도로가 개설되어 있어 원활한 조사를 위해 6개 구역으로(표 1. 잠조) 나누어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C구역을 제외한 전 구간에서 조선시대 건물지, 구상유구, 수혈 등의 유구와 다수의 청동기시대 주거지가 발견되었다. 이에 우리 연구원은 유구가 발견된 면적에 대해서는 정밀발굴조사 의견을 제시 하였다. 정밀발굴조사는 2014년 06월 26일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과 정밀발굴조사 협약 후, 문화재청으로부터 발굴 변경허가(제2013-0745호)를 득하였다. 이 후 조사는 2014년 07월 04일 착수하여 2015년 12월 13일 완료하였다. 조사결과 청동기시대 주거지, 조선시대 수혈, 구상유구, 삼가마, 고래, 아궁이 등의 다양한 유구가 발견되었다.
 



Ⅰ. 머리말 19

Ⅱ. 조사대상지와 그 주변환경 22

Ⅲ. 조사구역 구분과 조사방법 및 기록 35

Ⅳ. 층위 37

Ⅴ. 조사내용 41

Ⅵ. 고찰 435

Ⅶ. 맺음말 457

참고문헌 460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