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본 유적은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구룡포읍 구룡포리 353번지에 위치한다. 발주처인 포항시청은 구룡포읍 구룡포리에 과메기 연구센터 및 해양전시관의 신축을 계획하고, 이에 앞서 대상부지와 그 주변에 대한 매장문화재의 유·무 또는 그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입회조사를 (재)화랑문화재연구원에 의뢰하였다. 전체 사업부지에 대한 조사를 2014년 9월 23일~10월 13일에 실시한 결과 트렌치에서 구상유구 1기와 내부에서 어망추 1점이 확인되었고, 조사대상지 북쪽에 위치한 구룡포리 유물산포지와 지형상으로 연결되어 있어 유적이 유존할 가능성이 많다고 판단되었다. 이에 유구가 확인된 트렌치를 중심으로 시굴조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포항시청은 본 연구원에 시굴조사를 의뢰하였고, 본 연구원은 2015년 1월 19일~3월 19일까지 시굴조사(문화재청 허가 제2015-0085호)를 진행하였다.
시굴조사에서 입회조사 당시 구상유구가 확인된 트렌치의 확장조사를 실시한 결과 장방형의 청동기시대 주거지 1동과 어망추, 무문토기 등의 유물을 확인하여 발굴조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발굴조사는 2015년 5월 6일에 착수하여 2015년 6월 12일에 완료하였다. 조사 결과 청동기시대 주거지 2동과 무문토기, 어망추, 마제석검 등 총 21점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Ⅰ. 머리말 9
Ⅱ. 유적의 위치와 환경 11
Ⅲ. 조사방법 및 층위 23
Ⅳ. 조사내용 27
Ⅴ. 고찰 47
Ⅵ. 맺음말 50
부록1. 53
부록2. 57
- 이전글칠곡 관호산성Ⅰ 건물지 유적 25.07.07
- 다음글경주 단구리 유적(흥해-기계Ⅰ 국도건설공사 구간 내) 25.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