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 아카이빙

학술조사보고

도서명 군위 오도암지 유적
학술조사보고 제53책
인쇄일 2016-12-01
발행일 2016-12-01
기획/출판 시선과 프레임

군위군은 정밀발굴조사 대상지에 현 법당 등 기존 건축물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사업계획을 변경하여 기존 건축물을 제외한 부지에 대해서만 사업을 진행하기로 하였다. 이에 따라 군위군은 전체 정밀발굴조사 대상지 가운데 현 법당의 마당(450㎡)에 대해서만 본 연구원에 발굴조사를 의뢰하였다. 그리고 정밀발굴로 전환하기 위해서 문화재청에 변경허가를 신청하였다. 이후 문화재청으로부터 변경허가(발굴제도과-9562, 2014. 09. 26)를 득한 후 2014년 10월 29일부터 12월 10일까지 정밀발굴조사를 진행하였다. 정밀발굴조사 결과, 조선~근현대까지 사용된 건물지 1동, 현대에 사용된 건물지 1동 및 아궁이 2기가 조사되었다. 유물은 자기편, 수키와, 암키와, 수막새 등 총 21점이 출토되었다
 



Ⅰ. 머리말 8

Ⅱ. 유적의 위치와 환경 10

Ⅲ. 조사방법 및 층위 27

Ⅳ. 조사내용 30

Ⅴ. 고찰 63

Ⅵ. 맺음말 67

본문

군위군은 정밀발굴조사 대상지에 현 법당 등 기존 건축물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사업계획을 변경하여 기존 건축물을 제외한 부지에 대해서만 사업을 진행하기로 하였다. 이에 따라 군위군은 전체 정밀발굴조사 대상지 가운데 현 법당의 마당(450㎡)에 대해서만 본 연구원에 발굴조사를 의뢰하였다. 그리고 정밀발굴로 전환하기 위해서 문화재청에 변경허가를 신청하였다. 이후 문화재청으로부터 변경허가(발굴제도과-9562, 2014. 09. 26)를 득한 후 2014년 10월 29일부터 12월 10일까지 정밀발굴조사를 진행하였다. 정밀발굴조사 결과, 조선~근현대까지 사용된 건물지 1동, 현대에 사용된 건물지 1동 및 아궁이 2기가 조사되었다. 유물은 자기편, 수키와, 암키와, 수막새 등 총 21점이 출토되었다
 



Ⅰ. 머리말 8

Ⅱ. 유적의 위치와 환경 10

Ⅲ. 조사방법 및 층위 27

Ⅳ. 조사내용 30

Ⅴ. 고찰 63

Ⅵ. 맺음말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