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 아카이빙

학술조사보고

도서명 청송 진안리Ⅱ 유적
학술조사보고 제44책
인쇄일 2014-10-01
발행일 2014-10-01
기획/출판 블루애드컴

시굴조사는 입회조사 결과에 따라 2012년 04월 16일~2012년 04월 20일까지 진행하였다. 시굴 조사 결과 수혈과 집석유구, 주혈 등이 확인되어 발굴조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KT&G는 본 연구원에 의뢰하였고, 2012년 09월 04일 착수하여 2012년 10월 31일까지 발굴조사를 진행하였다. 발굴 조사결과 고려시대 주거지 1동, 수혈 6기 및 시대미상 수혈 12기, 고려시대 집석유구 1기, 우물 1기, 시대미상 주혈 4개를 조사하였다. 유물은 상기에서 확인된 유구 내 출토유물과 더불어 지표수습 유물을 포함한 총 50건 50점을 확인하였다. 토도류 49점, 옥석유리 1점이며, 토도류는 대부분 고려시대 기와편 및 토기, 자기편이며 전반적으로 유적의 지표상에서 확인되었던 유물들과 크게 유사하였다.

더불어 주거지 1호와 수혈 1ㆍ2ㆍ7ㆍ18호에서는 소와 말 뼈 그리고 돼지 뼈가 확인되기도 하였다. 유물이 출토되지 않은 시대미상 수혈들이 다수 확인된 것과 관련하여 일부 동물사체 매납과 관련된 성격이 유추된다. 또한 주거지 및 수혈 내부에서 고려시대 기와류와 토기, 자기편이 확인되고, 우물 바닥에서 청자접시가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이보다 앞선 시기 건물지 관련 시설이 주변에 존재했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 동쪽으로 300m 이내에 고려시대 건물지(한빛문화재연구원, 2008,『 청송 진안리 유적』)가 확인된 바 있으며, 현재도 조사구역 주변으로 지표에서 다량의 고려시대 기와 편이 확인되고 있다.
 



Ⅰ. 머리말 17

Ⅱ. 유적의 위치와 환경 19

Ⅲ. 조사방법 및 층위 30

Ⅳ. 조사내용 32 

  1. 주거지
  2. 수혈
  3. 집석유구
  4. 우물
  5. 주혈
  6. 지표수습

Ⅴ. 고찰 75

Ⅵ. 맺음말 82

참고문헌 83

부록 125

출토유물목록 133

본문

시굴조사는 입회조사 결과에 따라 2012년 04월 16일~2012년 04월 20일까지 진행하였다. 시굴 조사 결과 수혈과 집석유구, 주혈 등이 확인되어 발굴조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KT&G는 본 연구원에 의뢰하였고, 2012년 09월 04일 착수하여 2012년 10월 31일까지 발굴조사를 진행하였다. 발굴 조사결과 고려시대 주거지 1동, 수혈 6기 및 시대미상 수혈 12기, 고려시대 집석유구 1기, 우물 1기, 시대미상 주혈 4개를 조사하였다. 유물은 상기에서 확인된 유구 내 출토유물과 더불어 지표수습 유물을 포함한 총 50건 50점을 확인하였다. 토도류 49점, 옥석유리 1점이며, 토도류는 대부분 고려시대 기와편 및 토기, 자기편이며 전반적으로 유적의 지표상에서 확인되었던 유물들과 크게 유사하였다.

더불어 주거지 1호와 수혈 1ㆍ2ㆍ7ㆍ18호에서는 소와 말 뼈 그리고 돼지 뼈가 확인되기도 하였다. 유물이 출토되지 않은 시대미상 수혈들이 다수 확인된 것과 관련하여 일부 동물사체 매납과 관련된 성격이 유추된다. 또한 주거지 및 수혈 내부에서 고려시대 기와류와 토기, 자기편이 확인되고, 우물 바닥에서 청자접시가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이보다 앞선 시기 건물지 관련 시설이 주변에 존재했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 동쪽으로 300m 이내에 고려시대 건물지(한빛문화재연구원, 2008,『 청송 진안리 유적』)가 확인된 바 있으며, 현재도 조사구역 주변으로 지표에서 다량의 고려시대 기와 편이 확인되고 있다.
 



Ⅰ. 머리말 17

Ⅱ. 유적의 위치와 환경 19

Ⅲ. 조사방법 및 층위 30

Ⅳ. 조사내용 32 

  1. 주거지
  2. 수혈
  3. 집석유구
  4. 우물
  5. 주혈
  6. 지표수습

Ⅴ. 고찰 75

Ⅵ. 맺음말 82

참고문헌 83

부록 125

출토유물목록 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