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 아카이빙

학술조사보고

도서명 창원 남문동 사도마을 유적
학술조사보고 제42책
인쇄일 2014-08-01
발행일 2014-08-01
기획/출판 명성기획인쇄사

경상남도개발공사는 경남 창원시 진해구 남문동 일원에 경제자유구역(남문지구)조성을 계획하고 있다. 사업시행에 앞서 이 부지에 대하여 (재)우리문화재연구원이 2005년 8월과 2006년 2~3월, 2차례에 걸쳐 지표조사를 실시하여 일부지역을 광역시굴조사구간과 정밀시굴조사구간으로 설정하고 조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본 연구원은 2012년 5월 29일 현장조사를 착수하여 동년 8월 9일 현장자문회의를 개최하였으며, 2012년 8월 15일 현장조사를 완료하였다. 발굴조사 대상지는 사도마을의 가옥이 있던 곳으로 표토 하 약 2m정도 아래에서 유구가 확인되었다. 조사결과 신석기시대 야외노지 12기가 확인되었으며, 유구주변 수습유물로는 융기문·침선문·무문양토기편, 석부 등 신석기시대로 판단되는 유물 11점이 출토되었다.
 



Ⅰ. 머리말 1

Ⅱ. 유적의 위치와 환경 3

Ⅲ. 조사방법 13

Ⅳ. 조사내용 14 

  1. 층위
  2. 유구
  3. 수습유물

Ⅴ. 고찰 64

Ⅵ. 맺음말 71

부록 73

출토유물목록 99

참고문헌 102

본문

경상남도개발공사는 경남 창원시 진해구 남문동 일원에 경제자유구역(남문지구)조성을 계획하고 있다. 사업시행에 앞서 이 부지에 대하여 (재)우리문화재연구원이 2005년 8월과 2006년 2~3월, 2차례에 걸쳐 지표조사를 실시하여 일부지역을 광역시굴조사구간과 정밀시굴조사구간으로 설정하고 조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본 연구원은 2012년 5월 29일 현장조사를 착수하여 동년 8월 9일 현장자문회의를 개최하였으며, 2012년 8월 15일 현장조사를 완료하였다. 발굴조사 대상지는 사도마을의 가옥이 있던 곳으로 표토 하 약 2m정도 아래에서 유구가 확인되었다. 조사결과 신석기시대 야외노지 12기가 확인되었으며, 유구주변 수습유물로는 융기문·침선문·무문양토기편, 석부 등 신석기시대로 판단되는 유물 11점이 출토되었다.
 



Ⅰ. 머리말 1

Ⅱ. 유적의 위치와 환경 3

Ⅲ. 조사방법 13

Ⅳ. 조사내용 14 

  1. 층위
  2. 유구
  3. 수습유물

Ⅴ. 고찰 64

Ⅵ. 맺음말 71

부록 73

출토유물목록 99

참고문헌 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