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 아카이빙

학술조사보고

도서명 포항 이인리 유적(청동기시대~고려·조선)
학술조사보고 제70책
인쇄일 2019-04-01
발행일 2019-04-01
기획/출판 콘텐츠카페 협동조합

본 보고서는 포항이인지구 도시개발사업부지 내 문화재 정밀발굴조사에 관한 내용이다. 이인지구 도시개발조합은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이인리, 성곡리, 학천리 일원에 택지개발사업을 계획하고 사업에 앞서 사업대상지에 대해 문화재 지표조사를 시행하였다.

지표조사 결과 일부 구역에서 삼국~조선시대로 추정되는 토기, 자기 등의 유물이 발견되어 시굴조사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에 이인지구 도시개발조합은 우리 연구원에 시굴조사를 의뢰하였고 우리 연구원은 2011년 12월 19일 문화재청으로부터 발굴조사 허가(허가 제2011-0870호)를 득한 후 2012년 01월 13일 실작업 63일간의 일정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는 총 10개 구역에서 진행하였고 조사결과 Ⅰ, Ⅱ, Ⅲ, Ⅶ, Ⅹ구역에서 청동기시대 주거지, 목관묘, 옹관묘, 석곽묘, 토광묘와 구상유구, 건물지, 가마 등 다양한 시기의 유적들이 발견되었다. 발견된 유적들에 대해서는 학술 자문회의를 거쳐 추가조사 면적을 설정한 후 정밀발굴조사를 진행하였다. 정밀발굴조사는 시굴조사 학술자문회의 결과에 따라 최초 2,185㎡에 대해 2013년 07월 05일 발굴 변경허가를 득한 후 조사가 시작되었다. 구역별로 총 6차에 걸쳐 정밀발굴조사가 진행되었고 전체 정밀발굴조사 면적은 40,043㎡이다. 조사결과 청동기시대 주거지, 원삼국시대 목관묘, 삼국시대 석곽묘, 통일신라시대 기와가마, 고려~조선시대 건물지, 토광묘 등이 조사되었고 조사가 완료된 구역에 대해서는 학술자문회의를 거친 후 부분완료하였다.
 



Ⅰ. 머리말 29

Ⅱ. 조사대상지의 위치와 환경 32

Ⅲ. 조사방법과 조사내용의 기록 44

Ⅳ. 조사내용 49 

  1. Ⅰ구역
  2. Ⅱ구역
  3. Ⅲ구역
  4. Ⅳ구역
  5. Ⅴ구역

Ⅴ. 고찰 539

Ⅵ. 맺음말 589

본문

본 보고서는 포항이인지구 도시개발사업부지 내 문화재 정밀발굴조사에 관한 내용이다. 이인지구 도시개발조합은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이인리, 성곡리, 학천리 일원에 택지개발사업을 계획하고 사업에 앞서 사업대상지에 대해 문화재 지표조사를 시행하였다.

지표조사 결과 일부 구역에서 삼국~조선시대로 추정되는 토기, 자기 등의 유물이 발견되어 시굴조사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에 이인지구 도시개발조합은 우리 연구원에 시굴조사를 의뢰하였고 우리 연구원은 2011년 12월 19일 문화재청으로부터 발굴조사 허가(허가 제2011-0870호)를 득한 후 2012년 01월 13일 실작업 63일간의 일정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는 총 10개 구역에서 진행하였고 조사결과 Ⅰ, Ⅱ, Ⅲ, Ⅶ, Ⅹ구역에서 청동기시대 주거지, 목관묘, 옹관묘, 석곽묘, 토광묘와 구상유구, 건물지, 가마 등 다양한 시기의 유적들이 발견되었다. 발견된 유적들에 대해서는 학술 자문회의를 거쳐 추가조사 면적을 설정한 후 정밀발굴조사를 진행하였다. 정밀발굴조사는 시굴조사 학술자문회의 결과에 따라 최초 2,185㎡에 대해 2013년 07월 05일 발굴 변경허가를 득한 후 조사가 시작되었다. 구역별로 총 6차에 걸쳐 정밀발굴조사가 진행되었고 전체 정밀발굴조사 면적은 40,043㎡이다. 조사결과 청동기시대 주거지, 원삼국시대 목관묘, 삼국시대 석곽묘, 통일신라시대 기와가마, 고려~조선시대 건물지, 토광묘 등이 조사되었고 조사가 완료된 구역에 대해서는 학술자문회의를 거친 후 부분완료하였다.
 



Ⅰ. 머리말 29

Ⅱ. 조사대상지의 위치와 환경 32

Ⅲ. 조사방법과 조사내용의 기록 44

Ⅳ. 조사내용 49 

  1. Ⅰ구역
  2. Ⅱ구역
  3. Ⅲ구역
  4. Ⅳ구역
  5. Ⅴ구역

Ⅴ. 고찰 539

Ⅵ. 맺음말 5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