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구미시는 주륵사지에 대하여 문화재 조사를 통해 사지의 실체를 파악하고 향후 복원·정비 계획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이에 우리 연구원에 문화재 지표조사를 의뢰하였고, 2차례의 문화재 지표조사가 시행되었다.
1차 지표조사는 기초적인 조사로 2007년 2월 10일 ~ 2007년 03월 11일까지 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결과 기존에 존재하였던 ‘구미 주륵사 폐탑’(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95호)외 폐탑과 관련된 건물지 그리고 금당지, 부속건물지 등이 확인되었고, 건물지와 관련된 초석, 기단석 일부가 지표상에 노출되어 현 상황에 대한 조사내용을 기반으로 가람의 규모를 파악하였다.
2차 지표조사는 복원·정비라는 구체적인 목적을 위한 것으로 2014년 08월 25일 ~ 2014년 09월 05일까지 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결과 1차 조사에서 발견된 부속 석재들 외 기단과 초석들을 확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건물지와 폐탑 주변으로 시굴조사 시행 범위를 산정하였다.
이에 구미시와 우리 연구원은 건물지 및 부속시설에 대한 성격을 규명하고자 시·발굴조사 계획을 수립하고, 시굴조사 허가(제2015-0336호)를 득한 후 2015년 09월 30일 착수하여 10월 19일까지 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석 및 부석, 기단석렬, 담장지 등이 확인되어 매장문화재 발굴 변경허가를 득한 후 2016년 05월 06일부터 06월 09일까지 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정밀발굴조사 결과, 지표 및 시굴에서 발견되지 않았던 담장 및 축대 등이 추가로 발견되어 건물지와 담장지, 축대에 대한 구조를 밝혀 주륵사지에 대한 전체적인 가람을 파악 할 수 있었다. 유물은 단경호, 토기병, 청자대접, 나발, 명문기와, 막새기와 등 31점이 출토되었다.
Ⅰ. 머리말 11
Ⅱ. 유적의 위치와 환경 13
Ⅲ. 조사방법과 내용의 기록 25
Ⅳ. 조사내용 29
- 층위
- 유구
- 유물
Ⅴ. 고찰 60
Ⅵ. 맺음말 70
참고문헌
부록
초록
- 이전글상주 서곡동 산8-10번지 유적 25.07.07
- 다음글경산 중방동 682-10번지 유적 25.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