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 아카이빙

학술조사보고

도서명 경산 임당토성
학술조사보고 제62책
인쇄일 2018-03-01
발행일 2018-03-01
기획/출판 콘텐츠카페 협동조합

본 보고서는 경산 임당토성 시(발)굴조사의 결과이다. 조사대상지의 행정구역은 경북 경산시 임당동 666번지 일원이며, 지리적으로 임당유적 중앙부에서 남서쪽으로 약간 치우친 해발 63~65m의 완만한 능선에 자리한다. 이 지역은 경산 임당동과 조영동 고분으로 지정된 사적 516호 내에 포함된다.

경산시청은 사적 516호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 임당토성에 남서쪽 농로 보수 과정에서 단면 일부가 훼손됨에 따라 추가훼손 방지와 토성 복원 및 보존을 위한 계획수립을 위해 임당토성에 대한 문화재조사의 시행을 계획하였다. 그리고 전문가들의 협의에서 이 지역에 대한 시(발)굴조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경산시청은 본 연구원에 시굴조사를 의뢰하여 2015년 09월 22일에 문화재청으로부터 허가(제2015-1027호)를 득하였다. 이후 2016년 02월 16일 현장조사를 착수하였다.

시(발)발굴조사 결과, 유구는 삼국시대 것으로 보이는 주혈 23기와 소결흔이 조사되었고, 유물은 소결흔 상면에서 승석문이 타날된 경질 토기편 2점이 출토되었다.
 



Ⅰ. 머리말 11

Ⅱ. 유적의 위치와 환경 13

Ⅲ. 조사방법 및 층위 23

Ⅳ. 조사내용 29

Ⅴ. 고찰 35

Ⅵ. 맺음말 40

참고문헌 41

출토유물목록 45

초록 46

본문

본 보고서는 경산 임당토성 시(발)굴조사의 결과이다. 조사대상지의 행정구역은 경북 경산시 임당동 666번지 일원이며, 지리적으로 임당유적 중앙부에서 남서쪽으로 약간 치우친 해발 63~65m의 완만한 능선에 자리한다. 이 지역은 경산 임당동과 조영동 고분으로 지정된 사적 516호 내에 포함된다.

경산시청은 사적 516호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 임당토성에 남서쪽 농로 보수 과정에서 단면 일부가 훼손됨에 따라 추가훼손 방지와 토성 복원 및 보존을 위한 계획수립을 위해 임당토성에 대한 문화재조사의 시행을 계획하였다. 그리고 전문가들의 협의에서 이 지역에 대한 시(발)굴조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경산시청은 본 연구원에 시굴조사를 의뢰하여 2015년 09월 22일에 문화재청으로부터 허가(제2015-1027호)를 득하였다. 이후 2016년 02월 16일 현장조사를 착수하였다.

시(발)발굴조사 결과, 유구는 삼국시대 것으로 보이는 주혈 23기와 소결흔이 조사되었고, 유물은 소결흔 상면에서 승석문이 타날된 경질 토기편 2점이 출토되었다.
 



Ⅰ. 머리말 11

Ⅱ. 유적의 위치와 환경 13

Ⅲ. 조사방법 및 층위 23

Ⅳ. 조사내용 29

Ⅴ. 고찰 35

Ⅵ. 맺음말 40

참고문헌 41

출토유물목록 45

초록 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