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 아카이빙

학술조사보고

도서명 영천 어은리 산57-6번지 유적
학술조사보고 제61책
인쇄일 2018-02-01
발행일 2018-02-01
기획/출판 콘텐츠카페 협동조합

부창솔라(주)와 우리 연구원은 정밀발굴조사를 위해 2016년 1월 19일 계약을 맺고 문화재청으로부터 14일간의 일정으로 발굴허가(허가 제2016-0045호)를 득하였다.

정밀발굴조사는 2016년 01월 21일 착수하여 2016년 02월 28일 완료하였다. 조사결과 토광묘 9기와 청동숟가락, 철정 등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한편 발굴조사가 완료될 즈음인 2016년 02월 04일 학술자문회의를 개최하였다. 자문의견으로는 조사내용의 기록보존을 전제로 예정된 사업을 진행해도 무방하다는 의견과 당초 어은리 고분군으로만 알려졌던 지역에 대해 유적의 성격을 알 수 있는 성과가 있었다는 의견을 개진하였다.
 



Ⅰ. 머리말 11

Ⅱ. 유적의 위치와 환경 13

Ⅲ. 조사방법 및 층위 25

Ⅳ. 조사내용 27 

  1. 토광묘1호
  2. 토광묘2호
  3. 토광묘3호
  4. 토광묘4호
  5. 토광묘5호
  6. 토광묘6호
  7. 토광묘7호
  8. 토광묘8호
  9. 토광묘9호
  10. 지표수습유물

Ⅴ. 고찰 56

Ⅵ. 맺음말 61

참고문헌 63

출토유물목록 67

초록 68

본문

부창솔라(주)와 우리 연구원은 정밀발굴조사를 위해 2016년 1월 19일 계약을 맺고 문화재청으로부터 14일간의 일정으로 발굴허가(허가 제2016-0045호)를 득하였다.

정밀발굴조사는 2016년 01월 21일 착수하여 2016년 02월 28일 완료하였다. 조사결과 토광묘 9기와 청동숟가락, 철정 등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한편 발굴조사가 완료될 즈음인 2016년 02월 04일 학술자문회의를 개최하였다. 자문의견으로는 조사내용의 기록보존을 전제로 예정된 사업을 진행해도 무방하다는 의견과 당초 어은리 고분군으로만 알려졌던 지역에 대해 유적의 성격을 알 수 있는 성과가 있었다는 의견을 개진하였다.
 



Ⅰ. 머리말 11

Ⅱ. 유적의 위치와 환경 13

Ⅲ. 조사방법 및 층위 25

Ⅳ. 조사내용 27 

  1. 토광묘1호
  2. 토광묘2호
  3. 토광묘3호
  4. 토광묘4호
  5. 토광묘5호
  6. 토광묘6호
  7. 토광묘7호
  8. 토광묘8호
  9. 토광묘9호
  10. 지표수습유물

Ⅴ. 고찰 56

Ⅵ. 맺음말 61

참고문헌 63

출토유물목록 67

초록 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