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 아카이빙

학술조사보고

도서명 고령 어곡리 237-3번지 유적
학술조사보고 제60책
인쇄일 2018-01-01
발행일 2018-01-01
기획/출판 콘텐츠카페 협동조합

본 보고서는 고령 어곡리 237-3번지 유적에 대한 문화재 정밀발굴조사에 관한 내용이다. 한국농어촌공사 고령지사는 상기지역에 공원주차장 조성을 계획하였으며, 사업시행에 앞서 시굴조사를 실시하였다.1) 시굴조사 결과, 7·8·11·14번 트렌치에서 청동기시대 석관묘 1기, 석열 1기, 고려시대(이후) 수혈 3기, 노시설 1기 등 총 6기의 유구가 확인되어 유적이 분포할 것으로 판단되는 2,583㎡의 범위에 대한 발굴조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후 한국농어촌공사 고령지사와 우리 연구원은 정밀발굴조사를 위해 계약을 맺고 문화재청으로부터 14일간의 일정으로 발굴허가(허가 제2015-1264호)를 득하였다.

정밀발굴조사는 2015년 12월 08일 착수하여 2016년 02월 05일 완료하였다. 발굴조사 결과 조사대상지 내에서 확인된 유구는 청동기시대 석관묘 1기, 수혈유구 1기, 집석유구 1기, 제사유구 1기, 석렬 2기 등 총 6기가 확인되었다.
 



Ⅰ. 머리말 11

Ⅱ. 유적의 위치와 환경 13

Ⅲ. 조사방법 및 층위 24

Ⅳ. 조사내용 29

Ⅴ. 고찰 77

Ⅵ. 맺음말 87

참고문헌 89

출토유물목록 93

초록 94

본문

본 보고서는 고령 어곡리 237-3번지 유적에 대한 문화재 정밀발굴조사에 관한 내용이다. 한국농어촌공사 고령지사는 상기지역에 공원주차장 조성을 계획하였으며, 사업시행에 앞서 시굴조사를 실시하였다.1) 시굴조사 결과, 7·8·11·14번 트렌치에서 청동기시대 석관묘 1기, 석열 1기, 고려시대(이후) 수혈 3기, 노시설 1기 등 총 6기의 유구가 확인되어 유적이 분포할 것으로 판단되는 2,583㎡의 범위에 대한 발굴조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후 한국농어촌공사 고령지사와 우리 연구원은 정밀발굴조사를 위해 계약을 맺고 문화재청으로부터 14일간의 일정으로 발굴허가(허가 제2015-1264호)를 득하였다.

정밀발굴조사는 2015년 12월 08일 착수하여 2016년 02월 05일 완료하였다. 발굴조사 결과 조사대상지 내에서 확인된 유구는 청동기시대 석관묘 1기, 수혈유구 1기, 집석유구 1기, 제사유구 1기, 석렬 2기 등 총 6기가 확인되었다.
 



Ⅰ. 머리말 11

Ⅱ. 유적의 위치와 환경 13

Ⅲ. 조사방법 및 층위 24

Ⅳ. 조사내용 29

Ⅴ. 고찰 77

Ⅵ. 맺음말 87

참고문헌 89

출토유물목록 93

초록 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