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 아카이빙

학술조사보고

도서명 봉화 남면리 573-5번지 유적
학술조사보고 제72책
인쇄일 2019-06-01
발행일 2019-06-01
기획/출판 콘텐츠카페 협동조합

본 보고서는 봉화 남면지구 농어촌용수개발사업부지 내 문화재 정밀발굴조사 내용이다. 한국농어촌공사 영주봉화지사에서는 다목적 농촌용수개발 사업을 계획하고, 사업시행에 앞서 문화유적 및 유물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동국문화재연구원에 문화재 지표조사를 의뢰하였다. 지표조사 결과 인근유적으로 봉화 현동리 지석묘 군이 위치하고 있고, 사업부지내에서 토기편 및 자기편이 확인되고 있어 시굴조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이에 한국농어촌공사 영주봉화지사에서 동국문화재연구원에 해당구역에 대한 문화재 시굴조사를 의뢰하였고, 조사결과 일부구역(420㎡)에서 청동기시대 수혈, 주거지 등의 유구가 발견되었다.2) 이후 발굴조사 면적에 대해 입찰을 실시하였고, 한빛문화재연구원에서 발굴조사 허가(제2017-0517호)를 받아 2017년 05월 15일 현장조사를 착수하여 2017년 06월 30일 조사를 마쳤다. 또한 현장조사가 완료될 시점인 2017년 06월 22일에 학술자문회의를 개최하여 기록, 보존에 대한 자문을 받고 조사를 완료하였다.
 



Ⅰ. 머리말 9

Ⅱ. 조사대상지와 주변환경 11

Ⅲ. 조사방법과 조사기록 23

Ⅳ. 조사내용 25

___가. 기준토층

___나. 유구 및 유물

Ⅴ. 고찰 40

Ⅵ. 맺음말 53

본문

본 보고서는 봉화 남면지구 농어촌용수개발사업부지 내 문화재 정밀발굴조사 내용이다. 한국농어촌공사 영주봉화지사에서는 다목적 농촌용수개발 사업을 계획하고, 사업시행에 앞서 문화유적 및 유물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동국문화재연구원에 문화재 지표조사를 의뢰하였다. 지표조사 결과 인근유적으로 봉화 현동리 지석묘 군이 위치하고 있고, 사업부지내에서 토기편 및 자기편이 확인되고 있어 시굴조사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이에 한국농어촌공사 영주봉화지사에서 동국문화재연구원에 해당구역에 대한 문화재 시굴조사를 의뢰하였고, 조사결과 일부구역(420㎡)에서 청동기시대 수혈, 주거지 등의 유구가 발견되었다.2) 이후 발굴조사 면적에 대해 입찰을 실시하였고, 한빛문화재연구원에서 발굴조사 허가(제2017-0517호)를 받아 2017년 05월 15일 현장조사를 착수하여 2017년 06월 30일 조사를 마쳤다. 또한 현장조사가 완료될 시점인 2017년 06월 22일에 학술자문회의를 개최하여 기록, 보존에 대한 자문을 받고 조사를 완료하였다.
 



Ⅰ. 머리말 9

Ⅱ. 조사대상지와 주변환경 11

Ⅲ. 조사방법과 조사기록 23

Ⅳ. 조사내용 25

___가. 기준토층

___나. 유구 및 유물

Ⅴ. 고찰 40

Ⅵ. 맺음말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