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 아카이빙

학술조사보고

도서명 예천 문효세자 및 폐비윤씨 태실 정비사업부지 내 유적(조선시대)
학술조사보고 제83책
인쇄일 2021-07-01
발행일 2021-07-01
기획/출판 콘텐츠카페 협동조합

본 보고서는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내지리 산82, 산83 일원에 문효세자 및 폐비윤씨 태실유적에 대한 정밀발굴조사에 대한 내용이다. 조선시대 여느 태실유적과 마찬가지로 일제 민족정기 유린의 아픔을 간직한 유적으로 1930년대 이왕직 예식과에 의해 문효세자 및 폐비윤씨 태실은 서삼릉으로 강제이봉되었고, 2005년 문화유적분포지도를 통해 조사대상지의 현재 위치와 태실비의 제원이 확인되었다. 강제이봉 당시 두 태실유적은 태함 내 태항아리와 함께 묻었던 부장품만을 빼돌린 후 복구하지 않은 채 방치하였던 것으로 확인된다. 이는 문화재관리국(현 문화재청 전신)과 지차제의 본격적인 전국 문화재 현황조사가 진행되었던 1960~70년대 무렵까지 이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 무렵 두 태실유적의 내부공간에 대한 복토작업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며, 유적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구체적인 제원과 현황에 대한 기록은 전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예천군에서는 두 태실유적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유적 보존을 위한 정비계획을 세

우기 위한 매장문화재조사를 시행하고자 2019년 05월 14일 문화재 발굴조사에 대한 입찰을 실시하였고, 우리 연구원이 이에 응찰하여 2019년 05월 22일 낙찰받았다. 문화재청의 발굴허가(제2019-0783호)에 의거하여 2019년 06월 26일에 정밀발굴조사(문효세자 144㎡, 폐비윤씨 80㎡)를 착수하였으며, 착수 전 2019년 06월 25일에 1차 학술자문회의를 개최하여 태실 발굴조사 기법과 정보에 대해 지도받았다. 2차 학술자문회의는 2019년 07월 29일에 개최하였으며, 문효세자 아기비가 원위치가 아닌 태함 위에 옮겨져 있으므로 옮긴 후 조사할 필요성과 태함의 전체 형태를 파악하기 위한 추가발굴조사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조사기간이 연장되었다. 3차 학술자문위원회는 2019년 9월 26일 개최하였으며, 2019년 10월 02일 현장조사(실조사 29일)를 완료하였다.
 



Ⅰ. 머리말 19

Ⅱ. 유적의 위치와 환경 21

Ⅲ. 조사경과와 조사방법 37

Ⅳ. 조사내용 43

Ⅴ. 고찰 55

Ⅵ. 맺음말 69

본문

본 보고서는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내지리 산82, 산83 일원에 문효세자 및 폐비윤씨 태실유적에 대한 정밀발굴조사에 대한 내용이다. 조선시대 여느 태실유적과 마찬가지로 일제 민족정기 유린의 아픔을 간직한 유적으로 1930년대 이왕직 예식과에 의해 문효세자 및 폐비윤씨 태실은 서삼릉으로 강제이봉되었고, 2005년 문화유적분포지도를 통해 조사대상지의 현재 위치와 태실비의 제원이 확인되었다. 강제이봉 당시 두 태실유적은 태함 내 태항아리와 함께 묻었던 부장품만을 빼돌린 후 복구하지 않은 채 방치하였던 것으로 확인된다. 이는 문화재관리국(현 문화재청 전신)과 지차제의 본격적인 전국 문화재 현황조사가 진행되었던 1960~70년대 무렵까지 이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 무렵 두 태실유적의 내부공간에 대한 복토작업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이며, 유적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구체적인 제원과 현황에 대한 기록은 전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예천군에서는 두 태실유적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유적 보존을 위한 정비계획을 세

우기 위한 매장문화재조사를 시행하고자 2019년 05월 14일 문화재 발굴조사에 대한 입찰을 실시하였고, 우리 연구원이 이에 응찰하여 2019년 05월 22일 낙찰받았다. 문화재청의 발굴허가(제2019-0783호)에 의거하여 2019년 06월 26일에 정밀발굴조사(문효세자 144㎡, 폐비윤씨 80㎡)를 착수하였으며, 착수 전 2019년 06월 25일에 1차 학술자문회의를 개최하여 태실 발굴조사 기법과 정보에 대해 지도받았다. 2차 학술자문회의는 2019년 07월 29일에 개최하였으며, 문효세자 아기비가 원위치가 아닌 태함 위에 옮겨져 있으므로 옮긴 후 조사할 필요성과 태함의 전체 형태를 파악하기 위한 추가발굴조사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조사기간이 연장되었다. 3차 학술자문위원회는 2019년 9월 26일 개최하였으며, 2019년 10월 02일 현장조사(실조사 29일)를 완료하였다.
 



Ⅰ. 머리말 19

Ⅱ. 유적의 위치와 환경 21

Ⅲ. 조사경과와 조사방법 37

Ⅳ. 조사내용 43

Ⅴ. 고찰 55

Ⅵ. 맺음말 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