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 아카이빙

학술조사보고

도서명 양양 선림원지 유적(통일신라시대)
학술조사보고 제78책
인쇄일 2021-03-01
발행일 2021-03-01
기획/출판 콘텐츠카페 협동조합

본 보고서는 양양 선림원지 학술발굴조사에 관한 내용이다. 양양 선림원지 내에는 삼층석탑(보물 제444호), 석등(보물 제445호), 홍각선사탑비 귀부 및 이수(보물 제446호), 부도(보물 제447호) 등 중요문화재가 즐비하다. 하지만 그 외 사역, 가람 등은 파악이 되지 않은 상태여서 양양군은 문화재보수정비 국고보조사업의 일환으로 양양 선림원지에 대한 학술발굴조사 입찰을 진행하였고 우리 연구원이 응찰하여 낙찰 받았다. 이후 문화재청으로부터 2015년 7월 9일에 허가를 득한 후(제2015-0738호) 실작업 97일간의 일정으로 정밀발굴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는 2015년 07월 27일 ~ 2016년 11월 20일까지 진행하였고, 조사의 목적은 추후 연차적인 발굴에 있어 선림원지 가람의 성격을 밝히는데 중점을 두었다. 한편 발굴조사 중 4차례의 학술자문회의를 거친 후 조사에 대한 자문을 받았으며, 조사 중 중요유물인 금동제 불상이 발견되어 2015년 10월 14일에 전문가 검토회의를 개최하였다. 금번 학술발굴조사 전 1985~1986년 동국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굴조사가 2차례 선행되었으며, 그 결과 금당지와 조사당지 등의 유적이 확인되었고 금동여래입상, 금동제 풍탁, 용면와, 막새기와, 와당, 금동장식, 철정 등의 유물이 출토되는 성과가 있었다.
 



Ⅰ. 머리말 21

Ⅱ. 조사대상지와 그 주변환경 23

Ⅲ. 조사방법과 내용의 기록 36

Ⅳ. 조사내용 38 

  1. 금당지
  2. 조사당지
  3. 승방지
  4. 부속건물지1
  5. 부속건물지2
  6. 부속건물지3
  7. 부속건물지4
  8. 지표수습 유물

Ⅴ. 고찰 119

Ⅵ. 맺음말 179

본문

본 보고서는 양양 선림원지 학술발굴조사에 관한 내용이다. 양양 선림원지 내에는 삼층석탑(보물 제444호), 석등(보물 제445호), 홍각선사탑비 귀부 및 이수(보물 제446호), 부도(보물 제447호) 등 중요문화재가 즐비하다. 하지만 그 외 사역, 가람 등은 파악이 되지 않은 상태여서 양양군은 문화재보수정비 국고보조사업의 일환으로 양양 선림원지에 대한 학술발굴조사 입찰을 진행하였고 우리 연구원이 응찰하여 낙찰 받았다. 이후 문화재청으로부터 2015년 7월 9일에 허가를 득한 후(제2015-0738호) 실작업 97일간의 일정으로 정밀발굴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는 2015년 07월 27일 ~ 2016년 11월 20일까지 진행하였고, 조사의 목적은 추후 연차적인 발굴에 있어 선림원지 가람의 성격을 밝히는데 중점을 두었다. 한편 발굴조사 중 4차례의 학술자문회의를 거친 후 조사에 대한 자문을 받았으며, 조사 중 중요유물인 금동제 불상이 발견되어 2015년 10월 14일에 전문가 검토회의를 개최하였다. 금번 학술발굴조사 전 1985~1986년 동국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굴조사가 2차례 선행되었으며, 그 결과 금당지와 조사당지 등의 유적이 확인되었고 금동여래입상, 금동제 풍탁, 용면와, 막새기와, 와당, 금동장식, 철정 등의 유물이 출토되는 성과가 있었다.
 



Ⅰ. 머리말 21

Ⅱ. 조사대상지와 그 주변환경 23

Ⅲ. 조사방법과 내용의 기록 36

Ⅳ. 조사내용 38 

  1. 금당지
  2. 조사당지
  3. 승방지
  4. 부속건물지1
  5. 부속건물지2
  6. 부속건물지3
  7. 부속건물지4
  8. 지표수습 유물

Ⅴ. 고찰 119

Ⅵ. 맺음말 179